[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의 주말 회동 소식에 무역합의 기대감이 확산되며 강세를 보였다.
현지시간으로 2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208.01p(0.47%) 오른 4만4901.92를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25.29p(0.40%) 오른 6388.64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50.36p(0.24%) 오른 2만1108.32으로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는 이날 5거래일 연속 최고가를 경신했다. 나스닥 지수 또한 3거래일 연속 신고가를 기록했다.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합의가 잇따르며 주가는 상승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이날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에 트럼프 대통령과 오는 27일 스코틀랜드에서 무역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스코틀랜드로 떠나기 전 기자들과 만나 "EU와의 협상 타결 가능성은 50대 50"이라며 "꽤 좋은 조건에서 협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기업들이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보이는 것 또한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FactSet)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 169곳 중 82% 이상이 월가의 예상을 상회했다.
다만 일부 기업들은 부진한 실적을 내놓으면서 주가가 곤두박질치는 양상이다. 인텔은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에서 순손실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날 주가가 8.5% 급락했다.
엔비디아(-0.14%), 아마존(-0.34%), 메타(-0.3%) 등도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급락세를 보였던 테슬라는 이날 3.52% 반등했고, 마이크로소프트(0.55%), 알파벳(0.46%) 등이 올랐다.
팔란티어는 급등하며 미국 시가총액 상위 20대 기업에 전격 진입했다. 팔란티어는 이날 2.54% 상승, 시가 총액이 3747억달러까지 오르며 홈디포, 프록터앤드갬블(P&G),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을 모두 제쳤다.
국채금리는 크게 변동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본청 개보수 현장을 찾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옆에 두고 금리 인하를 압박했으나, 시장은 동요하지 않고 안정세를 보였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2bp 내린 4.388%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0.4bp 떨어진 3.921%로 집계됐다.
달러도 이틀 연속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3% 오른 97.70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87달러(1.32%) 내린 배럴당 65.16달러로 거래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74달러(1.07%) 하락한 배럴당 68.44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21% 오른 7834.58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06% 내린 5352.16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20% 내린 9120.31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32% 내린 2만4217.50에 거래를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