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카드업계가 스테이블코인 대응책과 활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활성화될 경우 결제 과정에서 배제될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어서다. 또 현행법상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가 불가능해 이에 대한 개정도 건의할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와 8개 전업 카드사들은 다음주 중 스테이블코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가진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이 금융권 화두에 오르면서 이를 대응하기 위한 자리로 해석된다. 스테이블코인이란 달러화 등 특정 법정 화폐에 가치를 고정시킨 암호화폐로, 기존 대비 가격 변동성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주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가 상하원을 통과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까지 마치면서 본격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했다. 국내의 경우 여당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디지털자산기본법과 혁신법 등이 추진되면서 법제화가 논의 중이다.
국내 금융권에 적잖은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체 생태계에서 결제를 담당하는 카드사 영향이 가장 클 전망이다.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활성화되면 결제 과정에서 카드사나 전자지급결제대행(PG) 등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에 TF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시 카드사의 역할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또 TF 논의를 거쳐 금융당국 등에 스테이블코인 운영거래에 카드사를 참여시켜달라는 건의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카드사들은 국내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명시된 업무만 수행 가능하다. 이에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기준이 명확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겸영업이나 부수업 항목으로 추가하는 안이 거론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위협일지, 기회일지 업계 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며 "다양한 선택지를 열어두고 고민하는 단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