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현장] 강남 집값, 갭투자 막히자 "거래 올 스톱" 숨고르기

대출 한도 축소에 거래량 30% 수준…실수요조차 관망세

박선린 기자 기자  2025.07.24 15:03:5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정부가 지난달 시행한 가계대출 관리 방안(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움츠러들고 있다. 특히 압구정·잠실·대치 등 주요 단지 중심으로 수억원씩 호가가 떨어지는 등 강남지역이 직격탄을 맞았다. 대출 규제가 강남발(發) 시장 위축을 불러오며 실수요자까지 관망세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출 규제로 자금 여력이 있는 일부 현금 구매자만 간헐적으로 움직일 뿐, 실수요자도 투자자도 다 주춤한 상황이다." - 서초구 인근 S공인중개사 관계자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엘스, 트리지움 등 대단지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10여 곳이 모여 있는 거리엔 적막감이 감돈다. 한때 수요자들로 붐비던 단지 주변은 다소 썰렁한 분위기다.

잠실 리센츠 인근에서 20년 가까이 중개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인중개사는 "이 정도로 매수 심리가 빠르게 식은 건 2008년(금융위기) 직후 이후 처음"이라며 "대출이 막히면서 현금 수요자 외에는 움직이기 어려운 시장이 됐다. 솔직히 10억원 이상 현금을 갖춘 매수자는 흔치 않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고가 주택에 대한 대출을 제한하고 사실상 갭투자를 차단하는 강도 높은 규제 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1개월가량 지난 현재, 서울 아파트 시장은 급속히 얼어붙었다. 거래량은 70% 가까이 줄고, 수도권 전역에서 집을 보러 다니는 이들도 눈에 띄게 줄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2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6757건에 그친다. 지난 달 같은 기간(2만1672건)과 비교하면 68.8%, 사실상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수치다. 

특히 서울 강남 3구 중심으로 고가 아파트 시장이 직격탄을 맞으며 '불패 지역'에서도 가격 하락세가 뚜렷하다. 

실제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12차 아파트 전용 155㎡가 최근 83억원에 실거래됐다. 지난 6월말 거래가(90억원)를 감안하면 불과 2주 만에 7억원 가량이 줄었다. 

송파구 헬리오시티 하락폭은 더 심상치 않다. 전용 84㎡ 최근 매물 가격(22억원)이 6월26일 거래가(27억3000만원)보다 11일 만에 5억원 넘게 떨어졌다. 계약 직전 중도금을 앞두고 계약이 파기된 사례도 적지 않다. 

이처럼 아파트 시장 냉각은 실수요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시장 이탈이 두드러진다. 

인근 C공인중개사는 "이 지역은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가 많았지만, 전입 의무 조항 때문에 투자 수요가 거의 사라졌다"며 "최근에는 생애최초 특례대출까지 축소되면서 실수요자까지 이탈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생애 최초 집합건물 구입 분위기가 크게 달라졌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수도권 내 생애 최초 집합건물 구입 무주택자는 규제 시행 전 18일간 1만7418명에서 1만3953명으로 20% 감소했다. 특히 강남구에서 345명에서 103명으로 약 70% 급감했으며, 중저가 아파트가 집중된 도봉·노원·강북 등도 10~30% 가량 감소했다.

시장에서는 '6·27 대책' 후속 조치 발표 전까진 현재와 같은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급매만 거래될 뿐, 당분간 거래 절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고가 아파트일수록 대출 비중이 크기에 6·27 규제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라며 "최근 집값이 급등한 강남권이나 한강변 아파트 단지들이 가장 먼저 얼어붙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진단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시장 전반의 유동성이 급감하면서 실수요자의 진입장벽까지 높아진 상황에서, 단기적 반등보다는 정책·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중장기 대응이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