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민주노총이 20일부터 내달 3일로 예정된 순환총파업 조직화를 위한 전국 순회교육에 돌입하는 등 이른바 ‘세상을 바꾸는 투쟁’에 시동을 걸었다.
민주노총은 △무상의료·무상교육 쟁취 △비정규권리보장입법(기간제·파견제·특수고용노동3권·근로기준법 개정) △노사관계선진화방안 폐기 및 노사관계민주화방안 쟁취 △한미 FTA협상저지 등 4대요구안을 쟁점화하는 쪽에 투쟁력을 집중하고 있어 노조 총파업이 경제계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노총은 20일 “전국순회 투쟁교육을 시작으로 23일부터 전국장기투쟁현장 순회투쟁에 돌입하는 동시에 대국민선전전을 확대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에 따라 이날 부산과 전북을 시작으로 21일 울산·광주전남, 22일 대구·구미·경남, 23일 경북·대전, 24일 충북·충남, 27일 강원·제주, 29일 서울, 30일 경기, 31일 인천으로 순회교육을 실시한다.
이들은 이와 관련 ‘4월 총파업투쟁 기본지침’을 오는 25일 중집과 28일 중앙위 회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민노총의 전국 순환총파업이 시작되면 사무금융, 언론노조, 금속연맹, 화학섬유, 보건의료, 서비스연맹, 전교조, 교수노조, 대학노조, 공공연맹, 민주택시, 민주버스, 화물통합(준), 건설연맹, 여성연맹, IT연맹 등이 내달 3일부터 14일까지 총파업 투쟁에 돌입하게 된다.
이들은 14일 총파업이 마무리되면 15일 ‘전국동시다발 결의대회’를 열어 총파업 투쟁을 일단 마무리할 방침이다.
민주노총 내 현장활동가들도 파업 조직을 위한 현장순회 활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대공장노조 현장조직원들도 공동투쟁단 참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4일 정부의 직권중재 발동 뒤 현장투쟁으로 전환된 전국철도노조도 철도공사의 노조탄압과 노조무력화가 계속될 경우 재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한국노총도 지난 13일 “전임자임금확보, 노사관계로드맵저지, 비정규직남용 및 차별철폐 등 제도개선 투쟁과 연계한 총파업 투쟁 준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노동계의 이 같은 총파업 움직임에 대해 재계는 그러나 ‘불법파업’이라며 정부의 엄정한 법 집행을 촉구하고 있어 노정간의 대화가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