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금감원 "해외 부동산 부실화 가능성 확대…맞춤형 감독 실시"

EOD 발생 사업장 2조6400억원 규모, 손실 점검

장민태 기자 기자  2025.04.07 14:26:4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국내 금융회사에서 투자한 해외 부동산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부실화 진행 정도에 따라 맞춤형 감독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7일 오후 서울 중구 소재 은행회관에서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금융 전문가들로부터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해 금융시장 감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외부 자문위원 약 120명이 참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는 55조8000억원 규모다. 이 중 채무불이행(EOD, Event of Default)이 발생한 사업장 규모는 2조6400억원이다. 

사업장의 약속 불이행으로 발생한 EOD 규모는 점차 늘고 있다. 지난해 3월 말 2조5000억원과 비교해 1600억원이 늘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가 주로 투자한 오피스 시장에서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점을 위험 요인으로 짚었다. 불황으로 공실률이 상승하고, 부동산 가치하락과 투자 손실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미국과 유럽 지역의 오피스 가격은 지난 2022년 고점을 찍은 이후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미국의 오피스 가격지수는 113.4에서 72.6으로 급락한 상태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은 오피스 투자에 대해 세부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부실화 진행 정도에 따라 맞춤형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미 EOD가 발생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손실인식 적정성을 점검하고 재대출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감정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사업장은 최신 가격으로 재확인하고, 특이사항이 보고되지 않은 사업장은 업권간 정보 공유를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오피스 외 △주거용 △상가 △호텔 △산업시설 등의 사업장에 대해서도 손실 여부를 확인한 후, 투자 상태를 조정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전체회의 이후에도 분과별 자문위원회를 통해 각 분야 최고 전문가와의 소통 능력을 강화하겠다"며 "금융감독 방향과 주요 현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감독 서비스의 선진화를 이뤄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