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Sketch
1)
유럽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전일 유럽 증시가 기업들의 인수 합병 소식이 이어지는 가운데기업들의 실적 호재까지 겹치면서 상승세로 마감되었다. 이로써 유럽 증시는 5일 연속 대부분의 증시가 상승했다. BMW는롤스로이스 그룹의 지분 매각과 함께 차량 판매 확대에 따라 세전 이익이 22% 수준 늘어났다고 밝히면서 1.8%가 상승,4년래 최고치를 보였다.
또한, 반도체 진영에서는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가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관련주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그 밖에 유로 넥스트가 독일 증권거래소와의 합병소식으로 상승했다. 그 밖에 HSBC가 상품가격이 한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 세계 최대 광산회사인 BHP빌리톤과 세계 3위 광산회사인 리오 틴토에 대한 매수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관련주의 동반 상승세를 이끌었다.
2)
미국증시 시황 분석 및
미국 증시가 상승폭을 크게 하면서 S&P500의 경우 2001년5월 이래 처음으로 1,300선을 돌파했다. 또한, 주요 지수들도모두 5년래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전일 연준리의 베이지북을 통해서 시장은 일단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과 함께 최근 일각에서 불고 있는 금리 인상 캠페인의 연장 또는금리 인상 가속도에 대한 불안감을 일부 해소했다. 연준리는현재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이어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미미한 상태로 진단함에 따라 투자자들은최근 시장을 압박하던 금리 인상 요인이 해소되는 양상을 보이면 상승폭을 크게 했다.
여기에 유가 하락과 함께 기업들의예상치 못했던 호재들이 쏟아지면서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증시는 기술적 반등 요인과 함께 최근 유입된 기업발호재 등에 힘입어 강세를 시도하고 있다. 여기에 시장에서계속해서 부담으로 작용하던 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감 등이전일 연준리의 발표로 해소기미를 보이고 또한 금리 인상 캠페인이 예상보다 빨리 마감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산발적으로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일시에 모두해결되기는 힘들지만 시장은 금리인상이 중단될 수 있다는 그어떤 뉴스에도 긍정적으로 반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Vs Global Market
(1) 해외 통화 시장 동향 및 전망
통화시장에서는 전일 발표된 미국내 해외 자본 순유입량이 미국의
무역적자폭에 미치지 못하면서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연준리의 베이지북에서 금리 인상이 가능하면 중단될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줌에 따라 달러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일 발표된
해외 자본 순유입 규모는 660억달러로 미국의 1월 무역적자인685억달러를 메꾸지 못했다.
자본순유입 규모가 무역적자를 하회한
것은 지난달에 이어 두달 연속 진행되면서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외환시장을 지배하고 있던달러
강세 요인이 절대 금리 차에 따른 달러 오름세에 일부 변경도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자산에 대한 수요 감소 우려감이 확산되거나
전일 연준리의 발표처럼 달러화의 강세 요인인 금리 인상요인이
완화된다면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의 강세를 이끌어 가는데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기술적으로도 유로화나 엔화 등의
통화가 최근 하락세에서 저점대를 확인한 이후 반등세를 이끌고있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달러 약세가 시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미금리 시장 동향 및 전망
채권시장은 하락세로 마감되었다. 10년만기 국채 수익률은 4.70%에서 4.74%로 상승했다. 전일 주요 뉴스들은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을시사했으나, 채권시장은 미국내 해외 자본 순유입량의 감소와 함께발표된 뉴욕 제조업 지수가 2004년 7월 이후 최고치인 31.16으로 예상치인 19.0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연준리의 금리 인상이 아직 끝나지않았다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하락세로 마감되었다.
재무부는 이날 1월 중 미국으로 순유입된 자본이 660억달러로 전월의 540억달러보다 증가했으나 외국인들의 미국 국채 및 채권 매수는 예상보다 적은 44억달러로 전월의 183억달러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외 자본의 미국 달러화 표시 자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느것이 아니냐는 우려감이 살아나면서 채권 시장을 압박했다. 그 밖에 시장에서는 도이치텔레콤과 골드만삭스 등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이 있는 기업들이 채권발행을 앞두고 헷징 매도 포지션을 유입시킨 것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Technical Summary
투자 의견 (6월물 기준)
기술적 분석은 "이동평균선과 MACD를 이용한 패턴 매매"를 기본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패턴 매매에 대한강의는 KR선물로 연락주시면 강좌 내용 및 일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품목 | 투자의견 | 지지대 | 저항대 |
E-mini 나스닥 |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매수 75선 지지대 지지여부 관건, 매수 div 영향 반등세 확대 |
1차 : 1684 2차 : 1675 |
1차 : 1706 2차 : 1714 |
E-mini S & P |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매수
75선 지지대 확인 후 전고점 돌파, 고점 안착시 추가 상승가능 |
1차 : 1297 2차 : 1294 |
1차 : 1305 2차 : 1310 |
유로/달러 |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중 박스권 투자마인드 : 유보 또는 매수 이평선 골드 시도, 150선 안착시 추가 상승 가능 |
1차 : 1.2105 2차 : 1.2085 |
1차 : 1.2165 2차 : 1.2195 |
엔/달러 |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반등시도 투자마인드 : 유보
또는 매수
일봉상 매수 div. 발생으로 추가 상승 가능 |
1차 : 8585 2차 : 8560 |
1차 : 8650 2차 : 8685 |
미국채 30년물 |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단기 반등
매수 div, 발생 후 골드 시도 (60분봉) |
1차 : 110.10 2차 : 110.04 |
1차 : 110.27 2차 : 111.12 |
미국채 10년물 |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단기 반등
매수 div 발생 으로 단기 반등 가능 |
1차 : 106.290 2차 : 106.175 |
1차 : 107.090 2차 : 107.210 |
Issue Analysis
이번주 경제지표 발표 내용 (3/13~17)
발표일 |
경제지표명 |
발표시간 |
예상치 |
이전치 |
발표치 |
13일(월) | |||||
14일(화) | 경상수지 - 4분기 | 22:30 | -$217.9B | -$195.4B | -$224.9B |
소매판매 - 2월 | 22:30 | -0.7% | 2.9% | -1.3% | |
소매판매(자동차제외) - 2월 | 22:30 | -0.3% | 2.6% | -0.4% | |
기업재고 - 1월 | 00:00 | 0.3% | 0.8% | 0.4% | |
15일(수) | 수출물가(농산물 제외) - 2월 | 22:30 | 0.7% | 0.1% | |
수입물가(원유 제외) - 2월 | 22:30 | 0.3% | -0.5% | ||
뉴욕 제조업 지수 - 3월 | 22:30 | 18.0 | 21.0 | 31.2 | |
해외 자본 순유입량 - 1월 | 23:00 | $53.8 | $66.0B | ||
주간 원유 재고량 | 00:30 | 6,763,000 | 4,836,000 | ||
연준리 베이지북 | 04:00 | ||||
16일(목) | 건축허가 - 2월 | 22:30 | 2,128,000 | 2,216,000 | |
소비자물가지수(핵심) - 2월 | 22:30 | 0.2% | 0.2% | ||
소비자물가지수 - 2월 | 22:30 | 0.1% | 0.7% | ||
주택착공 - 2월 | 22:30 | 2,030,000 | 2,276,000 | ||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 303,000 | |||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 3월 | 02:00 | 12.6 | 15.4 | ||
17일(금) | 설비가동률 - 2월 | 23:15 | 81.3% | 80.9% | |
산업생산 - 2월 | 23:15 | 0.7% | -0.2% | ||
미시간대학 소비자신뢰지수 - 3월 | 23:50 | 89.5 | 86.7 |
- 주간 행사 안내
- (괄호 안은
한국시간)
해외 주요 행사 (3/13 ~17)
<3월13일 (월)>
⊙일본 - 1월 경상수지 (오전 8시50분), 1월 무역수지 (오전 8시50분),
4분기 GDP 수정치
(오전 8시50분), 4분기 GDP 수정치-연율 (오전 8시50분), 4분기 명목 GDP 수정치
(오전 8시50분), 4분기 GDP 디플레이터 (오전 8시50분), 2월 소비자 신뢰지수 (오후 2시)
⊙브뤼셀 - 유로존 재정 장관
회의
⊙바젤 -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 총재 연설 (오후 7시)
⊙브뤼셀 - 칼 하인즈 그라서 오스트리아 재정장관 연설 (오후
7시)
⊙알링톤 - 자넷 옐렌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 연설 (14일 오전 2시45분)
<3월14일 (화)>
⊙일본 - 1월 산업생산 수정치 (오후 1시30분), 1월 가동률 (오후 1시30분), 2월
부도건수
(오후 1시30분), 일본은행 1~2월 통화정책 회의 의사록 (오후 2시)
⊙미국 - UBS 주간소매판매 (오후
9시45분), 4분기 경상수지 (오후 10시30분), 2월 소매판매
(오후 10시30분), 주간 레드북 (오후 10시55분), 3월 IBD 소비자 신뢰지수 (자정),
시카고연방은행 1월
중서부지수 (15일 오전 2시)
⊙브뤼셀 - 유럽연합(EU) 재무장관 회의
⊙워싱턴 - 존 스노 미 재무장관 연설 (오후
11시40분)
⊙미국기업실적발표 - 골드만삭스 (1분기)
<3월15일 (수)>
⊙인도 - 뭄바이,
델리, 콜카타, 방갈로 금융시장 휴장
⊙미국 - ABC/WashPost 주간 소비자 신뢰지수 (오전 7시), 주간 모기지마켓 및 리파이낸싱
지수
(오후 9시), 2월 수입 및 수출 물가 (오후 10시30분), 1월 자본 순유입 및 외국인
미국채
순매수 (오후 11시), 베이지북 (16일 오전 4시)
⊙미국기업실적발표 - 리만브라더스홀딩스 (1분기)
<3월16일 (목)>
⊙일본 - 주간 외국인 일본주식 순매수 규모 및 일본인 해외채권 매수 규모 (오전 8시50분)
⊙미국 - 2월
주택착공 및 건축허가 (오후 10시30분), 2월 근원 CPI (오후 10시30분),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오후 10시30분), 2월 실질소득 (오후 10시30분)
⊙애틀랜타 - 잭 귄 아틀란타 연방은행 총재 연설 (오전
9시30분)
⊙샌프란시스코 - 자넷 엘렌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 위성 연설 (오전 11시)
⊙시드니 - 자넷 엘렌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 연설 (오전 10시30분)
⊙프랑크푸르트 - 유럽중앙은행(ECB) 회의 (오후 5시)
⊙프랑크푸르트 -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 총재 오트마 이싱 5월 은퇴 기념
세미나에서 연설 (오후 11시) (세미나는 17일까지)
⊙미국기업실적발표 - 베어스턴스 (1분기)
<3월17일 (금)>
⊙일본 - 1월 경기선행지수 및 동행 지수 수정치 (오후 2시)
⊙미국 - 2월 반도체 BB율 (오전 8시),
2월 산업생산 (오후 11시15분),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오후 11시45분)
* 인터넷 및 CATV를 통해 해외선물 실전 투자 전략 및 시황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황상담 : KR선물(주) 과장 남동완 (2168-7405(직통)), don@krfutures.co.kr
본 시황은 투자 고객을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입니다.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이며 KR선물 및 정보제공자에게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