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 '수수료 싸움'에 도입 취지 '흐릿'

첫 시작 '차보험' 비교 서비스부터 가격 차이에 '외면'…"양 채널 보험료 통일해도 마찬가지"

김정후 기자 기자  2024.09.05 18:10:4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핀테크업계와 보험업계가 수수료 갈등을 벌이는 탓에 정부가 추진한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이 소비자에게 외면을 받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개편에 나섰지만, 양측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어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서비스로 도입한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당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19일부터 지난달 8일까지 약 8개월 간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에서 계약이 성사된 건수는 일 평균 305건에 그쳤다.

현재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에서는 자동차보험·해외여행보험·펫보험·용종보험·저축보험을 서비스 중이다. 이 가운데 일 평균 가입 건수가 6만8000건에 달하는 등 비교적 시장이 큰 자동차보험조차 힘을 못 쓰고 있어 심각하다는 평가다.

이처럼 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의 흥행이 기대에 못 미친 요인으로 '수수료' 영향이 가장 컸다는데 의견이 모인다.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377300)·토스 등 3개 핀테크사가 제공 중인 자동차보험 비교·추천 플랫폼에는 삼성화재(000810)·메리츠화재·현대해상(001450)·KB손보·DB손보(005830)·롯데손보(000400)·흥국화재(000540)·하나손보·캐롯손보·AXA손보 등 10개 손보사가 입점해 있다.

이중 자동차보험 시장의 약 85%를 점유하고 있는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보·KB손보 등 '빅4'는 비교·추천 플랫폼 내 상품에 '4요율'을 적용했다.

4요율이란 설계사·텔레마케팅(TM)·다이렉트 채널 등 온라인·모바일(CM)에 플랫폼(PM)까지 포함해 보험료를 산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간 손보사들은 PM을 제외한 3요율을 사용해 왔다.

핀테크사들이 플랫폼에 상품을 입점하는 데 있어 3% 가량의 수수료율을 요구하면서 보험료에 이를 반영할 수밖에 없었다는게 손보사들의 설명이다.

반면 핀테크사들은 수익을 내야하는 사업 중 하나라는 점에서 수수료 적용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 비교·추천 서비스에 광고효과가 있기에 손보사들이 광고비 명목으로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수수료와 관련해 어느 한쪽도 포기하지 않는 양상이다. 그 결과 비교 추천 플랫폼에서 만날 수 있는 자동차 보험 상품은 손보사들이 직접 운영 중인 다이렉트 채널의 보험 상품보다 가격이 비싸게 책정됐다.

실제로 동일 조건의 차보험 가입을 직접 시도해 본 결과 '삼성화재 다이렉트 착'에서는 약 218만원이지만 카카오페이의 비교·추천 플랫폼을 통해 가입하면 약 226만원으로 3% 정도 차이가 났다. 플랫폼을 통해 보험 가격을 비교해보더라도, 굳이 가입까지 할 이유는 없는 셈이다. 

보험 비교 플랫폼 도입 취지였던 소비자 편익과 보호, 다양한 선택지 제공이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오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직접 나섰다. 

지난 28일 김 위원장은 보험업권 간담회에서 "대다수 국민들이 가입하는 자동차보험 비교·추천 서비스부터 보험료 체계 등 현황을 전면 재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수수료 갈등이 자동차보험 비교 추천 플랫폼에만 있는게 아니라는 점이다. 네이버페이가 운영 중인 해외여행보험 비교·추천도 일부 대형 손보사들과의 수수료율 적용에 대한 이견으로 출범 직전부터 잡음이 발생했다.

같은 문제로 차질을 빚은 만큼, 자동차보험 비교·추천 플랫폼 개선안의 방향성에 해외여행자보험 비교·추천 플랫폼 등의 보험료 체계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CM과 PM의 보험료를 같게 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지난 1월 열린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점검회의에서도 손보사들이 적용 중인 요율에 대한 언급이 있었던 만큼 양 채널 모두 3요율로 통일하리라는 예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럴 경우 아예 보험료 자체가 인상될 수 있다"며 "결국 피해보는건 소비자인데 혁신금융서비스로 도입한 취지에 어긋나는건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 관계자는 "아직 협의 중인 단계라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별도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