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매년 고공 성장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이에 자산운용업계 시장 선점 경쟁도 치열하다. 'ETF줍줍'은 매일 쏟아지는 ETF 업계 최신 뉴스를 모은 브리핑 코너다. 최신 시장 동향·투자 전략·전문가 분석까지 한번에 전달한다.
16일 △미래에셋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ETF 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인도니프티50 ETF' 순자산 6000억원 돌파
미래에셋자산운용이 'TIGER 인도니프티50 ETF' 순자산이 6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인도 대표 지수인 'Nifty 50지수'에 투자하는 ETF다. Nifty 50 지수는 인도거래소(NSE) 상장 종목 중 유동비율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종목을 담고 있는 지수로, 연초 이후 11%p 이상 상승했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부상하면서 막대한 글로벌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는 국가다. 또한 최근 모디 총리의 연임 성공으로 정책 연속성에 힘이 실리며 경제 발전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이도선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매니저는 "인도 증시는 지난 2015년 이후 8년 연속 상승 랠리를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장기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며 "개인 투자자들은 국내 최대 규모의 TIGER 인도니프티50 ETF를 통해 직접 투자가 어려운 인도 시장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오는 30일까지 TIGER 인도니프티50 ETF 보유 인증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제공한다.
◆ 한화자산운용 'PLUS K방산' 순자산총액 2000억원 돌파
한화자산운용은 국내 방위산업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ETF인 'PLUS K방산'의 순자산총액이 2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같은 성과는 상반기 주요 투자종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등 실적 성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 방산 4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LIG넥스원·한국항공우주)의 올 2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5949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4사 영업이익 합계인 1944억원 대비 3배가 넘는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방산 기업들의 상반기 실적 성장은 러-우 전쟁 이후 유럽·중동 국가 중심의 무기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관측된다. K9자주포, K2전차, 경전투기 FA-50PL·FA-50M 등 수출 실적이 매출을 견인했다. 올 11월 미국 대선 역시 국내 방산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PLUS K방산 ETF 연초 이후 수익률은 48.3%이며, 지난해 1월5일 상장 이후 수익률은 90.8%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략사업부문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황 악화와 이스라엘-하마스 전황 격화는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나 이로 인해 K-방산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더욱 커져가고 있고, 글로벌 각국의 자주국방 수요의 증가는 명약관화한 상황이라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KODEX CD금리액티브, 개인 순매수 1조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CD금리액티브 ETF 개인 누적 순매수가 1조원을 넘었다고 16일 밝혔다. 금리·채권형 ETF 중 1위, 전체 ETF 중에는 6번째에 해당되는 규모다.
이처럼 KODEX CD금리액티브 ETF에 개인 자금이 유입되는 것은 은행의 전통 파킹형 상품 대비 높은 수익과 낮은 거래 비용, 거래 편리성 등을 꼽을 수 있다.
KODEX CD금리액티브는 CD91일물의 하루치 금리 수준을 일할 계산해서 매일 복리로 반영하기 때문에, 기간 조건 없이 단 하루만 투자해도 CD91일물의 하루치 금리 수준을 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작년 6월 상장 후 손실이 발생한 날이 하루도 없이 일평균 주당 151원 수준의 수익을 제공해 왔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이 고금리 현상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CD91일물 금리가 최근에도 연 3.49%에 달해 KODEX CD금리액티브가 고금리 파킹용 상품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유아란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투자자들께서 파킹형ETF의 장점과 활용법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만큼 일반 주식투자자는 물론 연금계좌 보유자까지 현금성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는 다양한 스마트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이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