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외화예금 확대 정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13일 한은에 따르면 이종찬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과 전정호 해외투자분석팀 조사역이 '거주자 외화예금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 △국내기업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 진출한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말한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에서 빌린 대외 차입금이 감소하고, 거주자 외화예금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 2009년 말 외국환은행의 외화조달원 중 외화예금 비중은 17.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40.5%까지 확대됐다. 반면 대외 차입금 비중은 같은 기간 43.2%에서 19.6%로 축소됐다.
거주자 외화예금이 대외 차입금보다 우수한 외화조달원이라는 게 한은의 평가다.
한은은 거주자외화예금의 우수한 특징으로 △위기에 강한 외화자금 △국내은행 외화자산·부재 구조 개선 기여 △낮은 조달금리 등을 꼽았다.
한은은 그간 글로벌 위험이 확산할 때 마다 거주자 외화예금으로 자금이 유입돼 국내 은행의 외화 유동성 개선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코로나19 팬데믹 위기에 외화자금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지만, 거주자외화예금이 유입되면서 시장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거주자 외화예금은 외국은행의 국내지점보다 국내 은행 중심으로 증가해 해외 차입 의존도를 줄였다. 또 단기·고유동성 대외자산으로 운용돼 국내은행의 위기대응능력이 높아졌다.
이에 따른 국내은행의 외화 유동성 커버리지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56%로 지난 2016년 말 대비 67%p 개선됐다.
은행 입장에서는 낮은 조달 금리도 장점이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금리가 0%에 가까운 요구불예금 비중이 3분의 2를 차지한다. 자금을 조달하는 데 드는 비용이 거의 없는 셈이다.
한은은 외화조달 장점을 고려할 때 거주자 외화예금을 확대하기 위한 인센티브 정책이 지속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은 5.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개국 평균 20.1%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지난 2012년 '외화예금 확충 방안'을 통해 제시한 목표치인 10% 이상도 하회하는 수치다.
이종찬 한은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은 "장점과 정책 목표보다 여전히 낮은 외화예금 비중을 고려하면, 거주자 외화예금 확대 정책이 계속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거주자외화예금 확대가 국내 신용 창출에 미치는 영향과 수출입기업의 예비적 수요 조정이 현물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 부작용에 대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