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해외증시] 금리 인상 우려감 Vs 기술적 가격대

프라임경제 기자  2006.03.08 10:18:55

기사프린트

Global Sketch

1) 유럽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전일 유럽 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했다. 미국발 TI의 부진한 실적발표와 함께 유럽의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수출 타격 가능성 등이 대두되면서 유럽 증시를 하락세로 이끌었다. 특히, TI의 실적 발표로 유럽내 기술주의 동반 하락세가강화되면서 시장을 끌어내렸다. 여기에 상품가격이 하락세를보임에 따라 광산주도 약세를 보였다. 그 밖에도 세계적인 금리인상 전망감으로 인해서 은행주들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수요 감소 우려감으로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유럽 최대 반도체 장비업체인 ST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는 2.6% 떨어졌고 유럽 2위 반도체업체인 ASML은 1.8% 하락했다.

2) 미국증시 시황 분석 및 
미국 증시가 블루칩 진영은 장중 혼조 양상을 보인 이후 GM 등대형주들의 매수세가 살아나면서 상승 마감에 성공했으나,기술주의 나스닥 진영은 인텔에 이은 TI의 실망스러운 실적발표를 반영하면서 하락폭을 키웠다. 전일 장이 마감한 이후 발표된TI의 실적은 순이익 전망치 범위의 하단을 상향 조정했으나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시장에 실망 매물을 이끌었다.

또한, 경제지
표를 통해 연준리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전망감이 더욱 확대되면서 시장에 압박을 던져주었다. 최근에 미국채 10년물의 채권수익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시중 실세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이 연준리의 금리 인상 캠페인에 대한 전망을 변경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금리 인상이 3월부터 중단될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최근 며칠간 연준리의 기준 금리가 올해안에 세차례 정도 인상될 것을 기준으로 추가 상승까지도 전망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또한, 전일 리먼 브러다스는 올해 연준
리의 목표 금리를 5.5%까지 예측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금리 상승 전망감의 부담감이 시장에 작용하고 있는상황이다. 또한, 전일 발표된 경제지표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 전망감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는데, 미국의 4분기 생산성은 0.5%의감소세를 기록했으나 지난 해 4분기 단위 노동 비용 증가율은3.3%로 월가 전망치인 3.1%를 상회하자 시장에 부담감으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투자 심리가 다소 위축되는 상황을 보이고 있는가운데 중기 추세 전환대의 가격대에 근접해 있다는 점에서 향후시장의 추세 변화 또는 추세 확장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25년래 최고 
수준에 가까운 현 생산량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감으로 하락세로 마감되었다. 오늘부터 예정된 OPEC(석유 수출기구)는 정례 회담을 통해 생산량을 유지하여 나이지리아와 이라크의 공급 공백을메움과 동시에 세계 경제 위협을 방어하겠다고 시사했다.

Vs Global Market 

(1) 해외 통화 시장 동향 및 전망    
통화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유로화에 대해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이에 따라 주요 통화들은 달러화에 대해 약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기존의 시장 전망과 달리 좀 더 공격적으로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으로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달러화는 2005년 12월 20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전일에는1.1%의 급등세를 보였다. 시장에는 연준리의 금리 인상 기조가 다시 연장될 수 있다는 새로운 분위기로의 전환을 꿰하고 있으며 이런 과도기적 분위기가 시장의 변동성과 방향성을 강화시켜나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에는 윌리엄 폴 세인트루이스 연은총재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경제 성장이 지속적으로 강력할 경우 연준리는 금리를 더 인상할 수 있다'는 발언을 통해 미국채 10년물의수익률을 장중 한 때 4.80%까지 끌어올리면서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강세를 이끌었다. 이 밖에 캐나다 중앙은행은 예상대로 금리를인상했지만 통화 정책에 대한 의견이 덜 매파적이었다는 소식으로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오늘 오전 호주는 기존 금리 5.5%의 동결을 결정하면서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외환시장은 이번주 금요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고용지표를 통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방향성을 더욱 공고히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지표가 연준리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자극할 정도로 호전되게 발표된다면 점진적인 달러 강세의 기조를 이끌것으로 예상되나 예상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경우최근 단기간에 달러화가 급등했다는 부담감과 함께 주말이라는점은 달러화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최근 가파른 움직임을 보인 외환 시장은 발표 전까지 다소 진정세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미금리 시장 동향  및 전망
채권시장은 낙폭을 크게 하면서 4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이후반등세를 보였다. 최근 미국채 가격이 급락세를 보였다는 부담감과 함께 전저점대에서의 기술적 반등 매물이 유입되면서 오름세로 마감했다.

특히, 경제지표가 금리 인상 전망감을 강화시켜 나
갔으나 기술적 매물를 소화해내지 못했다. 그러나, 이같은 반등에도 불구하고 채권시장은 반등세가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분위기이다. 특히, 고용지표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고용지표 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 요인을  강화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중 한때 4.8%의 수익률을 기록하던 미국채 10년물의 수익률은 4.74%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채권시장도 추세 전환대로 내려서면서 향후 방향성을 강화시켜 나갈 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Technical Summary
투자 의견 (3월물 기준)
기술적 분석은 "이동평균선과 MACD를 이용한 패턴 매매"를 기본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패턴 매매에 대한강의는 KR선물로 연락주시면 강좌 내용 및 일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품목 투자의견 지지대 저항대
E-mini 나스닥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유보

150선 지지대 지지여부 관건

1차 : 1655

2차 : 1647

1차 : 1674

2차 : 1683

E-mini S & P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유보

75선 지지대 지지여부 관건

1차 : 1270

2차  : 1264

1차 : 1280

2차 : 1287

유로/달러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중 박스권 투자마인드 : 고점 매도

P3 발생

1차 : 1.1855

2차 : 1.1830

1차 : 1.1915

2차 : 1.1940

엔/달러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반등시도 투자마인드 : 고점 매도

P2 발생

1차 : 8485

2차 : 8445

1차 : 8560

2차 : 8580

미국채 30년물 (6월물)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하락

데드 발생으로 하락세 강화, 전저점 지지대 확인 필요

1차 : 110.12

2차 : 110.00

1차 : 111.00

2차 : 111.10

미국채 10년물 (6월물)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하락

반등시 매수 div 발생 가능 주의 필요

1차 : 106.120

2차 : 106.000

1차 : 107.060

2차 : 107.140

 

  Issue Analysis 

 

이번주 경제지표 발표 내용 (3/6~10)  

발표일

경제지표명

발표시간

예상치

이전치

발표치

6일(월) 공장주문 - 1월 00:00 -5.4% 1.1% -4.5%
7일(화) 생산성(예비치) - 4분기 22:30 -0.1% -0.6% -0.5%
소비자 신용 - 1월 05:00 $5.0B $3.4B $3.9B
8일(수)
9일(목)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295,000 294,000
무역수지 - 1월 22:30 -$66.5B -$65.7B
10일(금) 주간평균근로시간 - 2월 22:30 33.8 33.8
시간당 임금 - 2월 22:30 0.3% 0.4%
비농업부문 신규일자리수 - 2월 22:30 210,000 193,000
실업률 - 2월 22:30 4.7% 4.7%
도매재고 - 1월 00:00 0.5% 1.0%
재정수지 - 2월 04:00 -$118.0B -$113.9B

 

       * 경제지표발표 일정 및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간 행사 안내 -  (괄호 안은 한국시간)

해외 주요 행사 (3/6 ~10) 

<3월6일 (월)>
⊙ 미국 - 1월 공장주문 (자정), 1월 내구재 주문 수정치 (자정)
⊙ 파리 - 장 필립 코티스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 연설 (오후 7시)

<3월7일 (화)>
⊙ 미국 - UBS 주간소매판매 (오후 9시45분), 4분기 생산성 수정치 (오후 10시30분), 

                  주간 레드북 (오후 10시55분)
⊙ 시드니 - 호주중앙은행 회의 (8일까지)
⊙ 도쿄 - 일본 각료들 회의 후 기자 회담
⊙ 워싱턴 - 미국 상원 은행, 주택, 도시문제 위원회 관련 청문회
⊙ 시카고 - 마이클 모스코우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 시카고 경영 대학원 연설
⊙ 미국기업실적발표 - 알버슨 (4분기), 크로거 (4분기)

<3월8일 (수)>
⊙ 러시아 - '여성의 날'로 금융 시장 휴장
⊙ 일본 - 2월 통화공급 (오전 8시50분), 2월 은행대출 (오전 8시50분), 일본은행 3월 

                  통화정책회의 시작 (9일까지), 1월 경기선행지수, 1월 동행지수 (오후 2시)
⊙ 미국 - ABC/Washpost 소비자신뢰지수 (오전 7시), 주간 모기지마켓 및 리파이낸싱지수 (오후 9시)
⊙ 런던 - 영란은행(BOE) 통화정책위원회 회의 (9일까지)
⊙ 비엔나 - 석유수출국기구(OPEC) 정례 회담
⊙ 세인트루이스 - 윌리엄 풀 세인트 루이스 연방은행 총재 연설 (오후 11시)
⊙ 라스베이거스 - 벤 버냉키 연방준비위원회 의장 연설 (9일 오전 2시)

<3월9일 (목)>
⊙ 일본 - 주간 외국인 일본주식 순매수 규모 및 일본인 해외채권 매수 규모 (오전 8시50분), 

                  일본은행 이코노믹 리포트 발표 (오후 3시)
⊙ 미국 - 1월 무역수지 (오후 10시30분),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오후 10시30분)
⊙ 런던 - 영란은행(BOE) 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 (오후 9시)
⊙ 뉴욕 - 티모시 가이트너 뉴욕 연방은행 총재 연설 (10일 오전 3시)
⊙ 미국기업실적발표 - 내셔날 세미컨덕터 (3분기)

<3월10일 (금)>
⊙ 일본 - 2월-기업상품가격지수 (오전 8시50분), 1월 기계류 주문 (오후 2시), 1월 가계지출 (오후 2시)
⊙ 미국 - 2월 비농업부문 취업자수 (오후 10시30분), 2월 실업률 (오후 10시30분), 

                  2월 ECRI 인플레이션지수 (오후 11시40분), 1월 도매재고 (자정), 2월 연방 예산 (11일 오전 4시)
⊙ 런던 - G6 대표단 회의 (11일까지) 

 

* 인터넷 및 CATV를 통해 해외선물 실전 투자 전략 및 시황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황상담 : KR선물(주)  과장 남동완 (2168-7405(직통)), don@krfutures.co.kr 

본 시황은 투자 고객을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입니다.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이며 KR선물 및 정보제공자에게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