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주)코오롱의 노동조합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의혹이 결국 ‘사실’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11일 대구지방노동청에 따르면, 노동부는 (주)코오롱 구미공장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한 결과 회사측이 노동조합 운영에 지배·개입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특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코오롱은 지난해 3월부터 노동조합원을 3단계인 White(확실자, 회사측에 우호적인 사람) Gray(의심자) Black(반대자, 노조측에 우호적인 사람)으로 분류해 회사측에 우호적인 대의원이 많이 선출되도록 담당자를 배정해 관리해왔던 사실이 적발됐다.
또 지난해 7월 실시된 노조 지도부 임원선거 과정에도 1,2차 선거를 거치면서 회사측이 원하는 후보가 당선되지 않자 선관위원을 매수해 선거를 무효로 만들도록 개입한 사실도 적발됐다.
선관위원장과 일부 선관위원들이 반대 후보측 노조원들의 항의를 피하기 위해 장소와 비용을 사측이 제공함으로써 자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노조임원 선거 과정에 회사측이 개입한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노동청은 이 같은 특별조사 결과를 구미지방노동사무소에 통보해 고소사건 수사에 반영하도록 조치하고, 행정지도할 것을 지시했다.
![]() |
||
사진은 (주)코오롱 구미공장 내부 전경 | ||
이런 가운데 벼랑 끝까지 치닫고 있는 (주)코오롱의 노사갈등이 이번 특별조사를 통해 어떤 식으로 매듭지어질지에 대한 노동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회사측의 노무관리 시스템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 않겠느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지난 2004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되어 온 노동탄압 사례를 비춰봤을 때 (주)코오롱이 노동조합을 바라보는 시각이 근본적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행정지도만으로는 사태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안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 코오롱 사측은 “(우리는) 노조 운영에 개입한 사실이 없다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밝히는 등 노동부의 조사결과를 전혀 수용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노동부의 특별조사 결과는 사실상 노조측의 주장이 ‘옳았다’는 쪽으로 귀결되고 있어 (주)코오롱은 도덕성에 상처를 입는 등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됐다. 또한 (주)코오롱의 기업윤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제 식구 감싸기’식으로 코오롱을 일방적으로 옹호했던 한국경영자총연합회도 노동계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 때문에 (주)코오롱 노조는 이번 조사를 계기로 상급단체인 민주노총과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더욱 더 회사측을
압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구랍 28일부터 경기도 과천 코오롱그룹 본사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는 이 회사 해고자들의 복직 문제도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노동부는 ‘노조선거 개입’과 ‘노조원 블랙리스트’ 등을 통한 노조탄압 의혹 등으로
물의를 빚어온 (주)코오롱에 대해 지난 달 16일부터 특별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