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31일 정기인사와 조직개편에 반발하며 투쟁 입장을 천명한 국민은행 노동조합이 1일 은행장실 앞에서 연좌농성을 벌였다.
![]() |
||
사진제공=국민은행 노조 | ||
노조는 이날 연좌농성을 통해 이번 인사가 △친정체제 구축을 위해 은행의 미래를 팽개친 쿠데타 인사라는 점 △내부인사 중용 약속을 한달도 안돼 어긴 점 △초임 지점장 대거 후선보임은 인사 횡포라는 점 △강 행장의 일방적 독단 인사라는 점 등에 대해 항의하고 이를 따졌다.
노조 관계자는 “친정 체제 구축을 위해 강 행장은 집행 임원 내부 출신 비율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겠다는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던졌다”면서 “최대 실적을 올리고도 부점장급 후선보임을 대규모로 실시해 전 직원의 고용 불안 심리를 불러 일으켰다”고 말했다. 또 “이 같은 초 단기 업적주의는 강 행장의 영업력 강화 정책이 직원들 쥐어짜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분명히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연좌농성 진행 뒤 곧바로 강 은행장과의 면담을 요청했으나, 은행측이 청경을 동원해 노조의 출입을 가로막아 면담은 무산됐다. 노조는 이에 따라 2일부터 향후 세부 투쟁 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인 실력투쟁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국민은행은 1일 전산정보그룹 부행장에 송갑조 전 하나은행 부행장(시티은행 1975~2000)을 임명하는 등 부행장 4명을 교체하고 4개 본부를 신설하는 등 인사 및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그러나 노조는 “내부 출신 부행장의 비율이 과반수 확보는커녕 제 자리에 머물렀고, 전산정보그룹에 또다시 3년이나 현업에서 떠나 있었던 씨티은행 출신 외부 인사가 임용된 것은 전형적인 정실 인사”라며 ‘강 행장의 친정 체제 구축’에 대한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노조가 특히 반발하는 이유는 초임 지점장 116명이 후선보임으로 발령났기 때문이다.
노조 관계자는 “이 같은 단기 업적주의는 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3만 국민은행 직원 모두에게 고용 불안과 업적에 대한 과도한 압박을 부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은행원에게 지점장은 당연한 삶의 목표”라며 “초임 지점장들에게 새로운 기회나, 팀원 발령의 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곧바로 후선 보임 조치한 것은 강 행장이 내부 직원들의 바람을 얼마나 우습게 여기는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민은행측은 “영업력 강화, 그리고 유사업무 통폐합 등을 통한 조직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단행된 인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