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한항공(003490)은 지난해 여객수요 증대와 저유가 및 저환율 기조에 힘입어 지난 2010년 이후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9일 적극적 시장개척 노력과 영업 호조 및 저유가 기조 등 우호적 대외환경에 힘입어 지난 2016년 매출액이 전년대비 1.6% 증가한 11조7319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또한 26.9% 증가한 1조120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다만, 당기순손익의 경우 2015년 5630억원에 이어 지난해에도 5568억원을 기록해 적자가 지속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대한항공 측은 "적극적 시장개척 노력과 영업호조 및 저유가 기조 등 우호적 대외환경에 힘입어 1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게 됐다"며 "하지만 한진해운 관련 손실 반영 및 외화환산차손에 따라 당기순손익은 적자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2016년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0.5% 증가한 2조929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1783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환율상승에 따른 외화환산차손으로 당기순손실이 발생했다.
이와 함께 여객 부문에서는 △동남아노선 3% △대양주노선 3% △중국노선 2% △구주노선 2% 등 견실한 수송실적(RPK) 상승이 이어졌으며, 한국발 수송객이 3% 늘어나는 등 전체 수송객이 2% 증가했다.
아울러 화물 부문에서는 △일본노선 15% △동남아노선 12% △중국노선 9% △구주노선 6% △미주노선 3% 등 대부분 노선에서 수송실적(FTK)이 증가했으며, 해외발 화물 수송이 9% 늘어남에 따라 전체 수송톤은 8%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올해 세계 항공여객 수요가 전년대비 5.1%, 세계 항공화물 수요는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대한항공은 올해도 여객과 화물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올해 여객 부문에서는 한국발 수요 호조세에 따른 완만한 수요 성장이 예상된다"며 "화물 부문에서는 글로벌 경기회복세 및 무역량 증가에 따라 고수익 화물 유치 및 탄력적 공급 조정으로 수익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