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CJ그룹의 식자재 유통 및 단체급식 전문기업 CJ프레시웨이(051500·대표 문종석)는 업계 처음으로 쌀 계약재배 농가에 초과이익을 공유했다고 9일 밝혔다.
이처럼 농가에 초과이익이 돌아갈 수 있었던 것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CJ프레시웨이는 농가가 계약재배하기로 한 농지에서 쌀 수확량이 기준보다 증대된 만큼 추가 수매를 통해 농가에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초과이익 공유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CJ프레시웨이와 손잡고 쌀을 계약재배한 전북 익산시 황등면 소재 127개 농가는 일반 농가대비(황등농협 조사) 단위면적당 9% 이상의 생산량을 올렸다.
쌀 재배를 통한 수익은 총 수확량과 수매가를 곱한 가격으로 가늠할 수 있는데 계약재배 농가는 1필지(3900㎡)를 기준으로 82가마를 수확해 75가마를 수확한 일반 농가보다 평균 13만2500원 높은 수익을 거뒀다.
단위 면적당 최대 수확량을 올린 계약재배 농가는 일반 농가 평균보다 120만원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계약재배에 참여하고 있는 서상원씨(47·남)는 "그간 풍년이 들어도 추곡 수매철만 되면 한 해 소득과 직결되는 수매가 등락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었지만, CJ프레시웨이와 계약재배를 맺고 첫 수확을 한 뒤에는 오로지 농사에만 전념할 수 있어 한결 부담을 덜었다"고 말했다.
CJ프레시웨이 농산팀 관계자는 "계약재배로 품질이 상향 표준화된 쌀을 유통단계를 줄여 대량 공급하면 회사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이렇게 확보한 이윤은 농가 계약재배 면적 확대와 종자확보 비용으로 사용돼 결국 농가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계약재배 초과이익 공유는 땀 흘린 농가에 대한 최소한의 보답"이라며 "농가의 열정으로 안정적인 원료를 구매할 수 있고 이를 합리적인 가격에 고객사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실상 기업과 농가, 고객사가 Win-Win할 수 있는 상생구도를 만드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CJ프레시웨이는 계약재배 면적을 지난해 240㏊에서 올해 500~600㏊로 확대할 계획이다. 계약재배 면적 확대에 따라 참여 농가 수도 기존 127개 농가에서 260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