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향후 우리나라의 수출 여건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주열 총재는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올해 첫 경제동향간담회 중 "새해 들어 불과 한 달여 사이에 기존 세계무역 질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향후 수출 여건을 낙관할 수만은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 배경으로 이 총재는 지난달 영국의 브렉시트(유럽연합(EU) 탈퇴) 공식화와 더불어 미국 신 행정부의 정책기조를 언급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독일·중국·일본에 대한 환율 조작 경고 등 연일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이 총재는 "미 행정부의 움직임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은 아니지만, 당초 선거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얼마나 어떻게 이행될지 불확실 했다"며 "정책으로 시행된다 하더라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봤지만, 예상보다 빠르고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40%대로 매우 높아 수출의 부진은 성장부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도 평가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무역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와 민간기업과의 공조를 주문했다.
그는 "어려워지는 무역환경에 대한 대응과 준비는 무엇보다 시급한 현안과제"라며 "상당한 경험과 정보, 네트워크, 인적자본을 축적해온 민간 부분과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