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뉴욕증시 주요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이행을 둘러싼 지속적인 마찰이 지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6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9.04포인트(0.09%) 하락한 2만52.4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6포인트(0.21%) 내린 2292.5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22포인트(0.06%) 낮은 5663.55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주 후반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융규제법인 '도드-프랭크법'의 일부 내용을 폐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강세를 보였지만 시장 참가자들은 여전히 무역, 이민 등의 정책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내림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유가 약세로 에너지업종이 0.9%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부동산과 금융이 각각 0.6%와 0.3%가량 내리는 등 산업과 기술을 제외한 전업종이 내림세를 보였다. 업종별 등락폭은 1% 미만이었다.
기업들의 희비는 엇갈렸다. 장남감 회사 하스브로는 시장기대치를 상회하는 이익과 판매를 달성한 실적을 발표하며 12% 급등했다. 하지만 명품 보석업체인 티파니앤코는 프레드릭 쿠메날 최고경영자(CEO)의 퇴임소속에 2.9% 떨어졌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100여개에 달하는 주요 기술기업들은 이날 트럼프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맞서는데 힘을 합치기로 했다. 이들 기업은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헌법에 반한다"고 주장하며 공동의 법률 의견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국제유가가 이달 들어 최저치로 떨어지며 배럴당 53달러선을 겨우 사수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83센터(1.5%) 떨어진 53.01달러에 거래됐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4월분 북해산브렌트유는 배럴당 1달러(1.8%) 하락한 55.81달러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럽증시도 정치적 불확실성 부각 등의 영향으로 동반 하락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유럽의회 연설을 앞두고 혼조세로 출발한 이날 유럽 주요 증시는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일제히 마이너스로 장을 마감했다. 은행주의 하락이 특히 두드러졌다.
유럽주요 국가가 올해 줄줄이 선거를 앞둔 가운데 프랑스 극우정당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펜 대표가 유럽연합(EU) 탈퇴 등 과격한 대선 공약을 내세우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중된 것이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줬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유럽 50 지수는 0.99% 빠진 3240.78을 기록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일 종가보다 0.2% 내린 7172.15로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1.22% 밀린 1만1509.84,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98% 떨어진 4778.0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