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배 기자 기자 2017.02.01 11:41:12
[프라임경제]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올해 전국 표준단독주택 22만호에 대한 가격(1월1일 기준)을 공시했다고 1일 밝혔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은 전국 평균 4.75%로, 전년도 변동률 4.15%에 비해 상승폭이 다소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제주, 부산, 세종 등의 전반적인 주택 매입수요 증가, 국지적 개발사업 시행 및 추진에 따른 인근 지역 주택가격 상승, 지역 간 공시가격 균형성 제고 노력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수도권보다 광역시 및 시․군 지역의 가격 상승폭이 큰 것은 제주(18.03%), 부산(7.78%), 세종(7.22%) 등 개발 사업이 활발한 일부 지역의 높은 가격상승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도 별로 제주(18.03%), 부산(7.78%), 세종(7.22%), 대구(6.01%), 서울(5.53%)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4.75%)보다 상승률이 높았던 반면, 대전(2.56%), 강원(2.84%), 경기(2.93%), 충북(3.08%) 등 10개 시·도는 낮았다.
제주 및 부산은 각종 개발사업 등의 영향, 세종은 정부 이전 관련 개발 및 성숙으로 인한 주택 수요의 증가, 대구는 재개발·재건축 등에 따른 주택가격 파급효과가 주택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다. 서울은 다가구 등의 신축에 따른 단독주택부지 수요증가 및 주택재개발사업의 영향 등이 변동률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시·군·구 별로는 전국 평균(4.75%)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이 88곳, 평균보다 낮게 상승한 지역이 162곳으로 파악됐다. 제주 서귀포시가 최고 상승률 18.35%을 기록했으며, 이어서 제주 제주시(17.86%), 부산 해운대구(11.01%), 부산 연제구(9.84%), 부산 수영구(9.79%) 순이었다.
가격공시 대상 표준단독주택 22만호 중에서 2억5000만원 이하는 19만969호(86.8%), 2억5000만원 초과 6억원 이하는 2만5005호(11.4%),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는 2749호(1.2%), 9억원 초과는 1277호(0.6%)였다.
한편 올해는 가격균형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전년 19만호 대비 표준주택 수를 3만호 추가해 모든 구간에서 표준주택 수가 증가했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약 400만호에 달하는 개별단독주택 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며 재산세 등 각종 조세 및 부담금 부과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된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누리집 또는 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의 민원실에서 오는 3월3일까지 열람할 수 있으며, 같은 기간 해당 시·군·구 민원실 또는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이의신청할 수 있다.
3월3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은 재조사 및 산정해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같은 달 23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