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27일(현지시간) 반(反) 이민 정책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을 두고 전 세계가 우려와 분노에 빠졌다.
행정명령이 발동됨에 따라 앞으로 90일 동안 △소말리아 △수단 △시리아 △예멘 △이라크 △이란 등 7개 나라 출신자에 대해 한시적으로 미국 비자발급 및 입국이 금지된다. 이들 국가 출신이지만 다른 나라 국적을 가진 이들도 행정명령 적용 대상이다.
표면적으로 내세운 이유는 이슬람 테러리스트를 막겠다는 것이지만 이를 계기로 트럼프 정부의 반 난민, 반 무슬림 강경책이 쏟아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CNN과 인터뷰에서 "7개국은 '시작점'에 불과하다"고 말해 반 이민 행정명령 국가에 더 많은 나라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뉴욕타임즈(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일부 항공사는 이미 7개국 국민의 미국행 발권을 중단했고 이라크 출신 난민 2명이 뉴욕 JFK 국제공항에 억류되는 일도 벌어졌다. 그 중 한 명은 지난 10년 간 미국 정부기관 직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국가들을 비롯해 각계의 반응 역시 비난 일색이다. 28일 이란 외무성은 "이슬람 세계에 대한 극도의 모욕"이라며 "폭력과 극단주의를 뿌리뽑기 위해 국제사회의 대화와 결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슬람 세계를 차별하는 미국의 정책은 폭력과 극단론을 확산시킬 뿐"이라고 경고했다. 이란은 이번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미국인의 자국 입국을 막기로 했다.
이민자 가정 출신인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미칠 영향이 우려된다"며 "나라를 안전하게 유지해야하지만 이는 실제 위협을 가하는 자들에게 집중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워런 버핏 버크셔헤서웨이 회장도 최근 컬럼비아대 강연에서 “이 나라는 이민자들로부터 축복을 받아왔다”며 “원하는 어느 나라에서든 그들을 데려올 수 있고 그들은 고국에서 드러내지 못한 가능성을 이 땅에서 발휘해내는 ‘무엇’을 증명해보였다”고 말했다.
소수자 권리에 큰 관심을 보였던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자신의 트위터에 “박해와 테러를 피해 도망친 사람들에게 캐나다 국민은 종교와 관계없이 여러분을 환영한다”며 “다양성은 우리의 힘이며 캐나다에 오는 곳을 환영한다”고 적었다.
또한 이번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온라인 청원에는 1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해 2200명이 넘는 학자들이 서명했으며 한 시민단체는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한편 논란이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 측은 “행정명령은 무슬림 입국 금지가 아니다”라고 한 발 물러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지지자인 공화당 폴 라이언 하원의장은 “이번 명령은 종교테스트가 아니며 전 세계 무슬림 대다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