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숙 기자 기자 2017.01.18 16:13:11
[프라임경제] 코스콤(사장 정연대)은 연구개발(R&D)사업의 효율적 수행 지원을 위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PaaS-TA) 기반의 R&D Zone'을 제공한다.
'파스-타'는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대한민국 클라우드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만든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R&D Zone'은 코스콤이 지난해 9월 시범 오픈한 금융권 최초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형 플랫폼 '케이 파스-타(K PaaS-TA)'를 정부 R&D사업 추진 시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고도화한 것이다. 이에 대해 코스콤 측은 초기 개발비용 절감 및 클라우드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앞서 지난 11일 'K-ICT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R&D사업 추진 시 관련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개발하고, 이를 우선 활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개정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연구장비에 대한 중복구매를 최소화하는 등 R&D예산을 절감하고 공공부문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률을 높이는 등 클라우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 방침에 따라 코스콤은 R&D Zone을 구축, 개발테스트 환경을 마련하는 한편 서버나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부터 운영체제(OS), 미들웨어, 프레임워크 등을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미래부에서 진행한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조사' 결과, 올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겠다는 공공기관 50여곳도 케이 파스-타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Zone'을 추가로 구축해 제공할 예정이다.
코스콤은 앞서 지난해 12월 행정자치부가 주최한 '클라우드 기반의 국민 앱 개발 공모전'에도 케이 파스-타를 지원,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한편 시범 운영을 시작한 지 4개월이 지난 코스콤의 케이 파스-타는 현재 기업 119곳과 개인 및 공공기관 140곳 등 총 300여곳에서 이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