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낙제점'…도입·운영 기관 10% 그쳐

2015년 '클라우드컴퓨팅법' 시행 후에도 도입 부진…2016년 기준 민간 클라우드 도입 기관 단 23개

황이화 기자 기자  2017.01.09 18:02:1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지난 2015년 9월 클라우드컴퓨팅법 시행 후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이 본격 추진됐지만, 공공부문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해 운영 중인 곳은 전체 중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 이하 행자부)는 클라우드컴퓨팅법 시행 이후 첫 번째로 진행된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조사'결과를 9일 공개했다.

클라우드는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중앙 컴퓨터에 저장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다.

미래부는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2016년 10월부터 11월까지 1118개의 기관(중앙행정기관·지자체·공공기관(공사·공단·지방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도입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733개 기관이 응답(65.6%)했으며, 이 중 클라우드를 도입·운영 중이라고 밝힌 곳은 119개였다. 전체 조사 기관 중 10.6%에 불과한 수준이다.

더욱이 현재 응답 기관 중 신규 도입 예정이라고 밝힌 곳은 188개 기관(984개 시스템)에 그쳐, 정부의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에도 공공기관에서조차 단 16.8%만이 추가로 클라우드를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특히 업계 일각에서는 정부의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정책이 체감할 수 있으려면 공공부문에서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이 적극 장려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이번 조사 결과 민간 클라우드 도입 수치도 부진하다.

2016년 현재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는 기관은 23개다. 이는 전체 응답 공공기관(333개) 중 7%가량이다.

또 2017년에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할 계획이라는 기관도 51곳으로 올해 이용 중인 기관과 중복 업체를 제외하면, 2017년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겠다는 공공기관 수는 총 62개로, 전체 응답 공공기관의 18.6%만 민간 클라우드에 관여됐다고 볼 수 있다.

미래부와 행자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이용 저해 요소를 과감히 정비할 수 있도록 협력할 방침"이라며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 개정과 가이드라인 적용범위 확대, 클라우드 조달체계 개선, 클라우드 적용 우수사례 창출 등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2차연도에는 더욱 내실있는 수요조사를 위해 금년 중 공공부문 대상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설명 및 홍보를 강화할 것"이라며 "미응답 기관들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교육과 컨설팅을 실시하고,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률을 제고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