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5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17에 참가해 혁신 제품들을 선보인다.
CES는 매년 1월 개최된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해당 연도의 가전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양사를 통해 본 올해 가전 업계 화두는 스마트홈 구현을 위한 스마트 가전이다. 다만, 양사는 스마트홈 구현 방안에서 IoT '연결'과 딥 러닝 '학습' 등으로 갈리는 모양새다.
◆삼성전자, 올해 가전 트렌드는 IoT 연결성
삼성전자는 4일(현지시간) CES 2017 개막에 앞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올해 전략 제품 소개와 함께 IoT 연결성 강화방안을 제시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 연결성에 집중한 혁신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자사 IoT 대표 가전 브랜드인 '패밀리 허브2.0'을 공개한다. 기존 제품 대비 음성 인식 기능, 가족 구성원별 개인 계정 설정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사용자는 요리를 하면서 음성으로 자유롭게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고, 요리 순서에 맞게 레시피를 읽고, 부족한 음식 재료는 음성으로 주문할 수 있다.
또 냉장고·월 오븐·콤비 오븐·쿡탑·후드·식기세척기 등 IoT 기술이 탑재된 주방가전 패키지도 공개된다. 모든 제품에는 와이파이(Wi-Fi) 기능이 탑재돼 스마트폰으로 각각의 제품들을 작동하거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 측 설명이다.
팀 백스터 삼성전자 미국 법인 부사장은 "2017년에는 삼성전자의 주요 가전제품과 TV가 IoT에 연동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서비스가 가능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서비스는 단순히 기기와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오픈 API 등의 기술을 연동하고 통합된 앱으로 간편하게 제어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진정한 IoT 생활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 스마트홈 구현 위해 '딥 러닝' 접목
LG전자는 독자 개발한 딥 러닝 기술인 '딥씽큐(DeepThinQ™)'를 탑재한 스마트 가전을 공개한다. 딥 러닝은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 각종 센서, 와이파이 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취합·분석해 작동방식을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일례로 로봇청소기는 이전까지 사람의 발을 넘으려고 했던 반면, 딥씽큐를 적용하면 사람의 발 앞에서 3초가량 대기하면서 발이 치워지면 청소를 하고 발이 움직이지 않으면 우회한다.
이외에 LG전자는 일반가전에 부착하면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씽큐 센서'와 △스마트 가전과 연동해 작동 상태 등을 화면과 음성으로 알려주는 '스마트씽큐 허브'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 '스마트씽큐 전구'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씽큐 플러그' △움직임을 감지해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스마트씽큐 모션센서' 등도 전시한다.
나영배 LG전자 부사장은 "압도적인 성능과 세련된 디자인의 프리미엄 제품, 고객을 이해하는 딥 러닝 기반 스마트 가전 등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