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혜인 기자 기자 2017.01.02 16:22:34
[프라임경제] 대우조선해양(042660, 이하 대우조선)이 자본확충을 단행하고 드디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났다. 상장 폐지를 겨우 넘긴 대우조선은 1분기 내 주식거래 재개를 바라고 있으나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대우조선은 지난달 12일 이사회를 통해 산업은행을 대상으로 1조8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23일에는 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하는 1조원 규모의 영구채를 발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해당 납입이 같은 달 29일 전부 마무리돼 대우조선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서 자본금 1조6000억원으로 올라섰고 별도부채비율도 900% 수준으로 낮췄다. 이번 출자전환을 통해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지분은 79%로 뛰어올라 최대주주에서 모기업이 됐다.
대우조선이 현재 가장 간절하게 원하는 것은 주식거래 재개다. 대우조선이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재개되기 위해서는 한국거래소에게 회사가 투명한 경영을 하고 있고 재무구조도 탄탄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거래소는 지난해 7월15일 고재호 전 사장이 5조7000억원 규모의 분식회계 혐의로 검찰에 기소되자 대우조선의 주식거래를 정지한 바 있다. 이어 지난해 9월에는 대우조선에 대한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고 상장폐지 대신 경영정상화를 위한 1년의 개선기간을 부여했다.
이번 자본확충을 통해 자본잠식에서 벗어난 대우조선은 개선된 재무제표 등을 담은 사업보고서를 오는 3월 공시하는 동시에 거래소에 거래 재개를 위한 기업심사를 신청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해당 심사가 통과된다면 이르면 4월 중에는 거래가 재개될 수 있다.
그러나 자본확충만으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자본확충이 모두 마무리돼 대우조선이 완전자본잠식에서 드디어 탈피한 29일 NICE신용평가(이하 나신평)는 오히려 대우조선에 대한 신용등급을 BB-에서 B+로 하향조절했다.
나신평 측은 "자본확충이 이뤄지고 대우조선의 구조조정 관련 불확실성이 크게 완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번 자본확충이 산업은행이 앞서 발표한 정상화 계획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이번 하향 이유를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신용평가 역시 대우조선의 신용등급을 B+로 유지하며 하향 검토하겠다는 기존 견해를 확인한다고 밝혔다.
대우조선의 가장 큰 불안요소는 유동성이다. 당장 오는 4월 만기되는 4400억원의 회사채를 시작으로 11월까지 총 9400억원 규모의 회사채 상환이 기다리고 있다. 국책은행의 지원자금 4조2000억원 중 현재 7000억원을 집행하지 않은 채 남겨두고 있으나 그야말로 최후의 수단이다.
관건은 신규 수주다. 안정적인 수주잔량를 확보하고 있긴 하지만 지난해 들어 수주절벽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상반기에는 해외 선주들과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했으나 본격적인 검찰 조사를 받으며 경영 활동에 차질을 빚었다. 불안정성이 높아져 수주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힘든 환경에서 대우조선은 15억5000만달러 신규 수주에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주식거래가 정지돼 있으니 불안한 기업이라고 판단해 신규 수주가 힘들고, 신규 수주가 없어 일감 확보가 이뤄지지 않으니 신용평가에서 좋은 점수가 나오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만약 주식거래가 재개된다고 해도 주가 전망도 불투명하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