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거침없는' 박영수 특검팀, 朴 대통령 옥죄다

제삼자 뇌물혐의 입증 박차…청와대 압수수색까지 이어지나

전혜인 기자 기자  2016.12.29 17:30:5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거침없는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최순실씨와 박근혜 대통령의 비리 의혹을 파헤치는 속도도 빠르다. 박 대통령을 겨냥, 포위망을 좁히는 모양새다.

29일 특검팀은 모철민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현 주프랑스 한국대사)과 김재열 제일기획 사장을 소환 조사하고,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30일로 공식 수사 열흘째를 맞는 특검팀은 정부 산하 기관 및 청와대 관계자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전직 장관 체포에 나섰다.

박 대통령을 향한 특검의 칼날은 '제3자 뇌물혐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앞서 특검은 이달 21일 첫 압수수색 대상으로 국민연금공단과 보건복지부를 선택, 삼성 합병을 둘러싼 관련 혐의를 드러내 밝히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바 있다.

특검은 또 김진수 전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이어 국민연금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하도록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로 문 이사장을 28일 긴급체포했다.

29일에는 삼성전자와 최씨 사이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한 김 사장이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 조사에 출석했다. 이재용 부회장도 머지않아 특검에 출석할 것이란 관측도 많다.

특검은 아울러 현 정권에 비판적인 문화·예술계 인사에 대한 정부·공공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가 만들었다는 '블랙리스트' 의혹 수사에도 집중하고 있다.

앞서 검찰 수사를 비켜간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했으며, 리스트 작성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산 모 대사를 이날 소환 조사했다.

박 대통령 관련 의혹의 핵심인 2014년 세월호 침몰 당일 7시간 행적도 특검의 수사 대상이다. 특검은 △최씨의 단골 성형외과 김영재의원 △'비선진료' 의혹에 휩싸인 김상만 전 녹십자아이메드병원 원장 자택과 사무실 △김 전 원장이 일했던 차움의원 등을 압수수색했다.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간호장교로 근무한 조여옥 대위도 이날 오후 재소환됐다. 조 대위는 앞서 "박 대통령에게 태반·백옥·감초 주사를 처방한 적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검은 최씨의 딸 정유라씨 수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씨의 입학·학사 비리 의혹과 관련해 최씨의 측근을 조사하고, 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 연구실, 관련 교수 주거지, 대한승마협회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아울러 정씨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기소중지·지명수배하고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에 '적색수배' 발령을 요청하는 등 귀국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 같은 특검의 급물살 수사가 청와대 압수수색으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앞서 검찰이 압수수수색을 시도했으나 비서실·경호실 등에 막혀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