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미래부 "창조경제혁신센터 건재…창업 지원 사업 지속할 것"

창조경제정책으로 민간 주도 창업생태계 구축돼

임재덕 기자 기자  2016.12.29 15:28:2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건재함을 알렸다. 최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정농단 사태의 핵심 인물인 최순실씨의 손길이 미쳤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점차 와해될 것이라는 회의적 시각에 휩싸였다.

이에 미래부는 29일 과천정부청사에서 기자단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열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그간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창조경제 및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지원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혁신센터에 입주한 위탁 기업들이 위축돼 있는 상황을 보면서 정부도 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 계속 지원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할 필요를 느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홍 차관은 내년 창조경제혁신센터 예산이 올해 319억원보다 118억원이 늘어난 437억원이 배정됐다며 창업 지원 사업이 지속될 것임을 강조했다.

최근 서울시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내년도 예산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에 대한 입장도 표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달 10일 내년에는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예산을 배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점차 와해될 것이란 우려를 낳았다. 서울시는 당시 입주 기업의 피해를 막기 위해 시가 운영하는 창업지원시설로 이전하는 것을 돕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홍 차관은 "서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서울시가 20억원의 시비를 배정하도록 협의하고 있지만, 확실치 않다"며 "필요하다면 예산을 추가적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가 지방비 예산을 배정하지 않더라도 미래부가 서울센터 입주 기업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창업지원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홍 차관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최대 성과로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꼽았다. 과거에는 창업이 정부주도로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민간·공공기술을 이용한 창업 사례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공공기술을 기반으로 창업에 성공한 사례는 지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총 38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창업에 성공한 사례는 301개로 약 10배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