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이 금융그룹 시너지 제고와 신성장 및 핵심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28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지주, 은행, 증권 등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한 금융그룹 시너지 강화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상품·서비스 역량 제고 △미래 성장동력 디지털금융과 신탁사업 강화에 방점을 뒀다.
우선 KB금융그룹 차원에서는 계열사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객의 금융니즈가 크고, 그룹차원에서는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는 자산관리(WM)와 CIB부문에서의 지주, 은행, 증권의 3사 겸직체제를 시행한 것이다.
특히, 은행 WM그룹에 IPS(Investment Product & Service·투자상품서비스) 본부를 KB증권과 대칭 형태로 신설해 양사 간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금융트렌드 변화 및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조직강화도 부분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지주에서는 미래금융부 산하에 KB Innovation Hub조직을 두어 핀테크 시장의 First Mover가 될 수 있도록 전초기지를 구축했다.
또한 은행은 미래채널그룹에 스마트마케팅부와 스마트채널지원Unit을 신설해 비대면 마케팅과 디지털금융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디지털금융에서 중요성이 커지는 데이터분석 기능도 강화했다.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최적의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고객그룹을 고객전략그룹으로 재편하고 '데이터분석부'를 신설했다.
이로써 KB금융그룹은 지주, 은행, 카드, 손보까지 데이터 분석 조직을 구축해 데이터 중심의 경영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이 밖에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신탁 사업에서의 자산관리와 은퇴 노후시장의 성장을 준비하고, 퇴직연금과 신탁사업 부문의 시너지 확보를 위해 신탁본부를 신탁연금그룹으로 격상했다.
그리고 최근 한층 중요성이 강조되는 자금세탁방지에 대한 독립적이고 충실도 높은 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국내 금융권 최초로 자금세탁방지 전담조직도 신설했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최근 손해보험, 증권 등 주력계열사가 KB금융그룹 계열사로 편입됨에 따라 이들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금융그룹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트렌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고 말했다.
다음은 KB금융지주 및 KB국민은행 경영진 인사 명단.
■KB금융지주
<신규>
◆부사장
△WM 총괄 박정림 △CIB 총괄 전귀상
◆상무
△재무 총괄 직무대행 및 재무기획 담당 이재근 △미래금융 총괄 (CFIO) 한동환 △HR 총괄 (CHRO) 성채현 △전략기획 담당 이창권
<승진>
◆부사장
△전략총괄 이동철
◆전무
△리스크관리 총괄 (CRO) 김기환 △홍보/브랜드 총괄 (CPRO) 신홍섭
■KB국민은행
<승진>
◆부행장
△경영기획그룹 허정수 △고객전략그룹 오평섭 △여신그룹 이용덕
◆전무
△중소기업금융그룹 김남일 △신탁연금그룹 김창원 △리스크관리그룹 김기환 △소비자브랜드전략그룹 신홍섭 △이상효 준법감시인
◆상무
△미래채널그룹 한동환
◆본부장
△자본시장본부 하정 △상품본부 구승열 △IPS본부 김영길 △IB사업본부 우상현 △HR본부 주왕식
◆지역영업그룹대표
△신덕순 강서·양천지역영업그룹 대표 △이우열 북부지역영업그룹대표 △김영연 서부지역영업그룹대표 △양재영 부천지역영업그룹대표 △최상국 경남지역영업그룹대표 △공승배 전북지역영업그룹대표
<전보>
◆부행장
△WM그룹 박정림 △경영지원그룹 이홍
◆지역영업그룹대표
△허진 강남지역영업그룹대표 △윤설희 강동지역영업그룹대표 △강길호 남부지역영업그룹대표 △이계성 서초지역영업그룹대표 △김환국 중부지역영업그룹대표 △서남종 중앙지역영업그룹대표 △전영미 강원?경기남지역영업그룹대표 △신선균 경기북지역영업그룹대표 △이종신 경서지역영업그룹대표 △김효종 성남지역영업그룹대표 △백충렬 부산·울산지역영업그룹대표 △김철 부산지역영업그룹대표 △송인성 대전?충남지역영업그룹대표 △김청겸 충북지역영업그룹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