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리시, 음식물처리시설사업 추진 전면 재검토… 왜?

안유신 기자 기자  2016.12.28 21:31:3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구리시(시장 백경현)가 지난 2013년부터 추진해왔던 음식물처리를 위한 종합폐기물 처리시설 건설사업과 관련해 최근 회의적인 입장을 내놨다.

폐기물 처리량에 관한 불합리성, 국·도비 지원 감소에 따른 시 투입액의 증가, 인근 주민의 극심한 반대(설문조사 반대 97%)를 이유로 시설사업에 대해 전면 재검토를 모색 중이라는 것이다.

구리시는 지난 2013년, 늘어나는 음식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와 기존 음식물처리업체에 위탁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처리비용의 절감을 위해 남양주시와 광역으로 종합폐기물처리시설(당시 명칭: 에코커뮤니티) 건설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당초 남양주시 가운동에 있는 구리시교환대상토지(남양주시에 있는 구리시 땅: A지역)에 시설을 설립하기 위해 남양주시에 의견을 타진했으나, 남양주시는 다산신도시 인근을 이유로 구리시에 사업의 포기를 종용했다. 이에 따라 추진이 중단됐다.

이후 구리시쪽에 있는 남양주시 교환대상토지(구리시에 있는 남양주시 땅: B지역)에 설립을 합의하고 남양주시 140t, 구리시 60t으로 한 1일 200t의 처리능력을 갖춘 시설을 건설키로 했다.

28일, 구리시 관계자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시설이 완공될 경우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량이 남양주시가 70%, 구리시가 30%로 불합리하고, 국·도비 또한 축소돼 구리시가 97억원이 증가된 312억원을 부담해야한다"는 것.

그는 이어서 "현재 운용되고 있는 민간시설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스템이 개선돼 안정적이고, 민간투자사업 추진 또한 그 동안의 여건 변화로 사업의 타당성이 축소돼 막대한 예산을 투입할 필요성에 대해 고려사항이 많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그 동안 음식폐기물 위탁처리업체의 부도 등으로 음식물쓰레기 대란이 일기도 했지만 현재는 위탁처리업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처리공장 설치는 주민의 입장에서 신중히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