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순실 블랙홀'에 지상파 중간광고 추진도 '주춤'

현 정권 내 도입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황이화 기자 기자  2016.11.02 14:59:3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이 끝을 모르고 확산되면서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 도입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정권 내 수용을 목표 삼아 정부에 중간광고 도입을 요구해왔던 지상파 방송사의 계획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혼란스러운 정국에 중간광고 도입을 강력히 추진했다가 후폭풍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 방송 관계자들은 올해 수차례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직·간접적으로 중간광고 도입을 주장해왔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재정 악화를 이유로 들었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발표한 '2006~2015년도 매체별 광고시장 점유율 변화추이'를 보면 2006년 전체 방송광고시장의 75,8%를 지상파 방송사가 점유했지만, 2010년에는 66.3%, 2015년에는 55%로 10년 동안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반면 CJ E&M의 점유율은 2006년 21%에서 2015년 38.9%로 약 두 배 성장했다. 이처럼 종합편성채널과 CJ E&M 등 다른 콘텐츠 사업자의 급성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이다.

여기에 내년 2월 수도권을 시작으로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 상용화가 예정되면서 고비용 투자가 불가피한 UHD 콘텐츠를 제작하는 동시에 UHD 방송을 위한 송신시설 및 제작시설 등을 새로 구축해야 한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지상파 UHD 정책방안'에 따르면 지상파는 오는 2027년까지 UHD 방송을 위한 시설투자에 9604억원, 콘텐츠에 5조8298억원 등 총 6조7902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내년 상용화 시점에서 UHD 최소 편성비율을 5% 이상으로 권고하고 단계별 확대해 2027년 100% 편성토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지상파 방송사는 콘텐츠 투자를 이행해야 한다.

매출 하락으로 고품질 콘텐츠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간접광고가 급증하거나 편법 중간광고를 내보내는 등 방송이 혼탁해지자 최근 들어 야권에서도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에 대한 긍정적 기류가 흐르기도 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지난달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최성준 방통위원장에게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최순실 게이트 파문이 커지고, 검찰이 청와대를 비롯, 관계자들 수사를 진행하는 터라 방송사 수익 개선을 위한 정책 개정을 요구하는 게 어려워진 모양새다.

아울러 이제라도 보도 신뢰성 회복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자성도 있다. 지상파 방송업계는 이번 정권 동안 중간광고 도입을 목표했지만, 최소 차기 대선까지 이에 대한 주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상파 방송업계 한 관계자는 "정해진 시점에 UHD 상용화를 제대로 구현해야 한다는 생각인데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상황은 녹록치 않지만, 중간광고를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중간광고도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유료방송사에 대한 지상파 방송사의 콘텐츠 이용대가 인상 압박은 거세질 전망이다. 전날 MBC는 지난달에 이어 CMB에 다시보기(Video On Demand·VOD) 공급을 중단, 한국케이블TV방송협의회가 성명을 제출하자 이날 공급을 재개했다.

케이블방송업계는 지상파 방송사의 VOD 공급이 재송신료(CPS) 계약과 연계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지상파 방송사는 양측 자율적 협상이 원활하지 않아 어쩔 수 없다는 견해로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