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높은 수익률과 담보력을 토대로 안전성까지 보장되는 부동산 P2P(개인 간) 금융투자에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부동산 P2P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담보 확신에 따른 섣부른 투자가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총 27개 회원사 중 부동산 P2P대출을 취급하는 15개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1594억2110만원을 넘어섰다. 이는 27개 회원사 전체 대출액 54.6%에 해당한다.
이처럼 부동산 P2P 금융시장의 가파른 성장 이유는 부동산 시장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는 가운데 투자자 입장에서 부동산이라는 확실한 투자금 회수처가 존재하기 때문에 훈풍이 이어진다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 나온다.
부동산 P2P대출 투자자들 사이에도 투자금 보호가 되지 않는 일반 P2P 금융과 달리 부동산 P2P의 경우 해당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이 진행되는 만큼 대출 채권이 연체·부도 등 부실이 발생해도 부동산 경매 등을 통해 투자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부동산 P2P대출 투자는 10% 이상의 수익률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나 P2P 금융에 유입되는 투자자금 대다수가 부동산 P2P 대출의 범주에 묶인다는 진단도 있다.
실제 P2P 금융업계 자료를 보면 부동산 P2P 크라우드 펀딩 상품은 최저 10%에서 최고 18%를 웃도는 투자수익률을 내고 있다.
부동산 P2P대출 전문기업 테라펀딩은 지난 20일 기준으로 누적대출액 513억5000만원을 기록, 투자자들의 연평균 수익률은 12.64%, 부도율은 0%였다.
하지만 부동산 담보인 P2P대출이라도 100%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일부 상품은 부동산을 후순위 담보로 대출을 모집할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
명목상 부동산 P2P대출이라 해도 부동산 담보가 1순위가 아니라면 채권 부실이 발생할 경우 해당 담보는 경매에 넘어가지만, 투자금은 온전히 회수하기 어렵다.
이 밖에 시장이 급격히 커지면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부동산 P2P업체가 고수익률을 내세워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P2P는 소액 PF(프로젝트 파이낸싱)인 만큼 운용업체에 대한 면밀한 분석 없이 투자할 경우 시장 변동성에 따른 투자자 손해가 커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고수익 고위험' 원리에 따라 안전장치가 없는 부동산 P2P대출시장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해당 P2P대출 투자 시 채권의 담보 순위가 어떻게 설정돼 있는지 꼼꼼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