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을 전격 제안하면서 정국이 요동친 24일, 이에 대한 찬반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과반이 넘는 57.1%의 응답자가 박 대통령의 개헌 제안이 '정략적'이라고 평가했다.
조사대상의 과반 이상이 박 대통령의 개헌 제안을 '측근비리 물타기와 정권연장을 위한 정략적 제안'으로 바라보는 것.
특히, 54.8%는 개헌이 추진될 경우 경제문제와 민생현안이 소홀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고, 71.7%는 현 시점에서 '개헌'보다 '측근비리 진상규명'이 더 시급하다고 생각했다.
박근혜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률은 최악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9월 말보다 4.8%p 급락한 23%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개헌을 추진할 경우 바람직한 방안으로는 '대선후보들이 공약으로 제시한 후 차기 당선자가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49.8%에 달해 과반 정도였고, 권력구조 개편방안은 '4년 중임 대통령제(49.0%)'를 가장 많이 선호했다.
◆개헌 제안 공감도 '사심 없어(31.8%) vs 정략적(57.1%)'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헌법개정, '개헌'을 전격 제안한 것과 관련해 응답자의 과반이 넘는 57.1%는 '측근비리 물타기와 정권연장을 위한 정략적 제안'으로 평가했다.
반면, 31.8%는 '나라의 미래를 위한 사심 없는 제안'이라고 답해 '정략적인 제안'이라는 응답이 1.8배가량 높았다.
계층별로 △50대(사심 없는 제안 43.6% vs 정략적 제안 43.1%) △60대(60.1% vs 24.6%) △충청(45.8% vs 41.9%) △대구·경북(47.1% vs 41.9%) △농축수산업(55.9% vs 30.1%) △박대통령 긍정평가층(83.6% vs 5.9%)은 ‘사심 없는 제안’ 답변이 많았다.
반면 △남성(사심 없는 제안 34.5% vs 정략적 제안 55.5%) △여성(29.2% vs 58.7%) △19·20대(8.6% vs 81.9%) △30대(14.7% vs 79.5%) △40대(22.6% vs 67.4%) △수도권(26.2% vs 62.8%) △호남(19.9% vs 67.7%) 등은 정략적 제안이라는 평가가 우세했다.
여기 더해 △부울경(36.7% vs 55.9%) △강원·제주(36.8% vs 44.2%) △자영업(38.2% vs 52.7%) △블루칼라(33.4% vs 49.5%) △화이트칼라(17.5% vs 75.3%) △전업주부(39.1% vs 47.3%) △학생(17.4% vs 68.6%) △기타·무직(36.4% vs 51.1%) △박대통령 부정평가층(9.3% vs 82.0%)도 정력적 제안에 무게를 뒀다.
◆개헌추진 시 경제·민생현안 실종 '공감(54.8%) vs 비공감(27.1%)'
개헌 시 권력구조 개편방안은 '4년 중임 대통령제(49.0%) vs 의원내각제(15.3%) vs 이원집정부제(8.6%)' 순으로, 과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4년 중임 대통령제를 가장 선호했다.
또한 개헌이 추진될 경우 경제문제와 민생현안이 소홀해질 것이라는 우려는 '공감(54.8%) vs 비공감(27.1%)'로, 경제·민생현안 실종 우려감이 2배 높았다.
경제 및 민생현안이 소홀해질 거라는 우려감은 △여성(56.5%) △30대(68.0%) △40대(61.3%) △수도권(61.6%) △블루칼라(68.4%) △학생(62.8%) △박대통령 부정평가층(63.2%) 등에서 특히 강했다.
이런 가운데 우병우 민정수석 파문에 이어 최순실 측근비리 논란에 휩싸인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도 급락했다.
박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9월 말보다 4.8%p 급락한 23.0%로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부정평가는 6.1%p 급등한 66.3%까지 이르러 최고치를 갱신했다.
계층별로 △남성(잘함 26.1% vs 잘못함 66.0%) △여성(19.8% vs 66.7%) △19/20대(7.8% vs 90.2%) △30대(13.3% vs 81.6%) △40대(14.9% vs 73.2%) △50대(30.7% vs 55.2%) △수도권(20.0% vs 70.6%)에서 부정평가가 1.4~11.6배 높았다.
더불어 △충청(26.6% vs 52.2%) △호남(9.7% vs 81.7%) △대구·경북(35.9% vs 51.3%) △부울경(27.3% vs 63.9%) △강원/제주(33.2% vs 59.4%)에서도 부정평가가 월등했다.
반면, △60대(잘함 42.0% vs 잘못함 40.5%)와 △농축수산업(46.9% vs 41.2%) 계층에서만 긍정평가가 소폭 높았다.
◆현 시점서 더 시급 '개헌(17.8%) vs 측근비리 진상규명(71.7%)'
현 시점에서 더 시급한 현안은 '개헌 추진(17.8%) vs 비선실세 측근비리 의혹 진상규명(71.7%)'으로 파악됐다. 개헌보다 측근비리 진상규명이 더 시급하다는 응답이 4배 정도인 53.9%p 높았다.
박 대통령 긍정평가층(개헌 추진 52.1% vs 측근비리 진상규명 28.1%)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모두 '측근비리 진상규명'이 더 시급하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
특히 △19·20대(90.5%) △30대(81.1%) △호남(80.5%) △화이트칼라(82.2%) △학생(85.2%) △박대통령 부정평가층(90.9%) 등에서는 80%를 상회했다.
한편 이 조사는 24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대표 안일원)'가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061명에게 컴퓨터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임의걸기(RDD)로 진행했다.
오차보정은 2016년 9월말 현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응답률 6.6%)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리서치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