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아이폰7 흥행돌풍이 예사롭지 않다. 국내 출시 이틀 새 20만대가 개통됐다. 업계는 아이폰6 교체 수요에 따른 결과일 뿐 갤럭시노트7 교체 수요에 따른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2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아이폰7은 21, 22일 양일간 20만대가 개통됐다. 번호이동은 21일 3만6987건, 22일 2만5985건으로 총 6만2972건으로 집계됐다. 23일은 이통사들이 매달 둘째, 넷째 주 일요일 영업망 전산을 닫는 날에 해당돼 휴대전화 개통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틀 새 20만대 개통은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6S 대비 2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또 6만2972건의 번호이동 수치는 갤럭시노트7 5만7904을 훌쩍 뛰어넘는다.
업계는 이 같은 흥행돌풍에 대해 최근 단종된 갤럭시노트7 교환·환불이 아닌 2014년 출시된 아이폰6 교체수요와 이통사의 마케팅 전략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날 국내 50만대 가량이 풀린 갤럭시노트7 교환율은 10% 초반으로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통신사들은 갤럭시노트7의 단종으로 생겨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아이폰7에 마케팅 자원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30만원대의 불법보조금(페이백)까지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갤럭시노트7가 단종되면서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선택지가 줄어 아이폰7으로 눈을 돌리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아이폰7의 갤럭시노트7 반사이익은 없는 수준"이라면서 "이틀 새 20만대 개통과 전작 대비 2배 성적 등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지만, 갤럭시노트7 사용고객의 유입은 극히 적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이폰6의 교체수요와 갤럭시노트7의 단종으로 인한 선택지 부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르면 오늘 발표되는 삼성전자의 추가 보상 프로그램의 결과에 따라 갤럭시노트7의 교체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주 발표 예정인 삼성전자 보상 프로그램에 따라 약 40만명의 갤럭시노트7 미교체자 거취가 결정될 예정"이라면서 "삼성의 보상 방안에 따라 이번 주 아이폰7 개통량은 절정에 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