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자연치아를 튼튼하고 건강하게 꾸준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관리소홀이나 사고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일인 것도 사실이다.
자연치아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시술로 임플란트시술이 있다. 임플란트는 보통 잇몸 뼈에 인공치근을 유착시켜 고정시키고 보철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성공적인 식립을 위해선 환자의 잇몸 뼈 상태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풍치와 같은 치주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잇몸 뼈가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시술을 하면 부작용 발생은 물론 임플란트를 재수술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처럼 치조골(잇몸뼈)이 부족해 당장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라면 임플란트 뼈이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임플란트 뼈이식이란 뼈이식술을 통해 부족한 잇몸뼈를 충분히 보충하고 2~3개월의 기간 경과 후 충분히 골형성이 진행되면 그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다.
임플란트 뼈이식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의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그중 자가골 뼈이식은 자신의 뼈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인공골을 이용한 뼈이식술에 비해 인체거부반응이나 전염성 감염 위험 등 부작용 위험이 덜하고 골형성 능력 우수해 치료기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씹는 힘의 강도 또한 우수하다는 점에서 가장 효과적인 임플란트 뼈이식술로 꼽힌다.
임플란트 뼈이식은 골형성이 진행되는 과정과 이후 사후관리가 중요한 성공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의료진의 풍부한 경험과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족해진 잇몸뼈를 제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치조골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돼야 하며, 그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잇몸뼈 상태가 나빠질수록 치료과정이 복잡해지고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증상이 확인되면 더욱 상태가 심각해지기 전, 가능한 그 즉시 치료받는 것이 좋다.
오정근 미플란트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