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으로 이전된 공공금융기관이 '가족 동반 이주' 등 현지 정착은 37%뿐이며, 부산 지역 인재 채용도 22%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돼 현지화를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부산 연제·정무위)은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예탁결제원,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임직원 부산현지이주 현황'과 '지역인재채용 현황'을 분석할 결과, 임직원 1462명 중 가족과 동반이주 비율은 37% 543명, 부산지역 인재 채용은 22%로 46명(정규직 기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임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 현황은 △2011년부터 이전한 기술보증기금은 235명 중 115명으로 46%로 가장 많고 △한국자산관리공사는 606명 중 239명 39%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09명 중 108명 35% △한국예탁결제원은 312명 중 81명 26%로 이주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 인재 채용은 정규직 기준으로 △2011년부터 이전한 기술보증기금은 채용인원 40명 중 18명을 채용 45%로 가장 높고 △한국자산관리공사 68명 중 19명 27%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5명 중 9명 25% △한국예탁결제원은 61명 중 0명(비정규직 25명)으로 임직원 가족동반이주에 이어 지역 인재 채용에서도 가장 낮은 비율로 분석됐다.
이에 김해영 의원은 "부산이전 공공금융기관들 임직원에게 혁신도시의 특별분양 혜택과 주택담보 대출의 금리우대 혜택, 그리고 자녀들의 전학에 따른 정착금을 지원 등 다양한 노력에도 가족을 동반한 이주는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인재채용도 대단히 저조하다"며 "부산시와 함께 기관들의 현지화를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