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임플란트는 치조골(잇몸뼈)에 나사모양의 티타늄을 식립하고 뼈와 유착이 된 후 보철물을 연결하는 치료로 자연치아가 손상 됐을 경우 경우 이를 가장 잘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다.
모양, 강도 등이 자연치와 유사하기 때문에 기능성, 심미성, 관리의 편의성 등 모든 면에서 대체 치아 중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개당 시술 가격이 높아서 불의의 사고나 풍치 등으로 인해 손상된 치아가 많거나 고령일 경우 전체 치아에 대한 시술은 어렵다. 때문에 노인들의 경우 틀니를 사용하는 이들이 많은데, 일반적인 틀니는 맞춤형으로 제작하더라도 특성상 잇몸 눌림이나 흔들림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증 발생할 우려도 존재한다.
바로 이와 같이 무치악 혹은 치아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의 경우 임플란트 틀니가 대안으로 등장했다.
임플란트 틀니는 2~4개의 최소한의 임플란트만을 식립해 틀니와 연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흔들림이 없이 튼튼하게 고정되며, 보통 자연치아 저작력의 80% 이상을 낼 수 있어 일상생활에도 별다른 불편함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임플란트 틀니의 경우 치아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경우 2~4개 정도를 식립하고 그 위에 탈부착 가능한 틀니를 결합하는 치료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낮고 보통 틀니에 비해 씹는 힘이 월등하고 더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틀니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잇몸에 부하를 주기 때문에 잇몸과 잇몸뼈가 동시에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데, 임플란트틀니는 이러한 부작용의 걱정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갑작스럽게 틀니가 튀어나온다거나 틀니 유격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식개수도 적어 개별 임플란트에 비해 시술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하지만 약 2~5개월가량의 다소 오랜 기간 세심함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건강 관리는 물론 시술 이후에도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풍부한 노하우와 체계적인 사후관리시스템을 갖춘 의료진의 선택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오정근 미플란트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