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기준금리가 넉 달째 연 1.25%로 동결됐다.
한국은행은 13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금통위 결정은 급증하는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경제성장 둔화 우려 등 기준금리 인하 요인이 있었지만, 정부가 내놓은 대책에도 가계부채 급증세가 꺾이지 않아 금융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카드사용액까지 합친 가계신용 잔액은 올해 상반기 54조원 늘어 6월 말 현재 1257조3000억원에 달했다.
이어 7월에는 은행의 가계대출이 6조3000억원 늘었고 8월엔 8조6000억원, 9월에도 6조1000억원이나 증가하는 등 가계 빚의 급격한 증가세는 진정되지 않는 실정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기준금리 동결의 배경이다. 미국이 연내 금리를 올리면 국내에 들어온 해외투자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이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미국 금리 인상 시 국내 시장금리 등이 상승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어 막대한 가계부채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도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