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단독] LG화학 간부 '부정청탁' 금품수수로 실형

그룹 윤리경영 무색케한 '억대 리베이트' 연루

전훈식 기자 기자  2016.10.11 17:20:5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LG화학 간부가 컨설팅업체로부터 부정청탁 명목의 뒷돈을 수년간 받은 혐의로 징역형에 처해진 사실이 알려지자 'LG그룹 윤리경영'도 한순간에 무너졌다는 뼈아픈 질타가 나오고 있다.

본지 확인 결과, 최근 환경·에너지 1위 업체로 알려진 '에코시안'은 국책 연구과제 수행을 하면서 4억8000여만원의 정부출연금을 횡령했다.

이 과정에서 1억6000여만원이 컨설팅업체 선정 중 편의제공 등 부정청탁의 대가로 LG화학 간부에게 전달된 사실이 사정당국의 수사 결과 드러났다.

LG그룹은 지난 1994년 LG윤리규범을 제정·선포한 이후 '정도경영 기업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LG정도경영 태스크포스팀(2003년 4월)을 출범시켰다. 이를 위시해 지난 3월에는 소상공인연합회가 발표한 '윤리경영실천 1위 기업'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구본무 회장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강조한 '정도경영에 기반한 투명한 경영, 사회 전체를 생각하는 윤리경영에 더욱 매진해야 한다'는 경영철학의 결과로 읽혔다.
 
그러나 지난 6월 배임수재 혐의로 체포된 LG화학 부장급 간부 A씨와 B씨가 각각 징역형(집행유예 및 추징금) 선고를 받으면서 LG화학은 물론, 그룹 전체 이미지가 실추되는 상황을 맞았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19개 기관의 국책연구를 수행하는 환경·에너지 연구개발업체 에코시안은 5억원가량의 정부출연금을 연구 목적 외 임의 사용한 혐의(업무상횡령)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사실관계를 조사하던 중 해당업체 대표가 컨설팅 용역 수주 및 진행과정에서의 편의제공 등 부정청탁 명목으로 LG화학 간부들에게 각각 1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정황을 포착했다. 특히 이 리베이트는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각종 불법과 비리가 장기간 이어진 점에서 단순 사건과 비교된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해당 건은 LG화학과는 무관한 개인 비리"라며 LG화학과의 직무 연관성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해당 컨설팅업체가 정부 국책과제를 일부 수행도 하는 업체였고, 이와 무관하게 회사 업무상 컨설팅을 받는 관계였다"며 "해당 직원들은 사내 규정에 따라 조치가 취해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응대했다.

그러나 LG화학에 근무하는 간부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점을 '단순 개인비리'로 치부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리베이트 관계는 업무와 무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LG화학 간부와 컨설팅업체 간 이뤄진 부정청탁'이라는 것만으로도 그동안 LG화학의 거래가 투명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법적 처벌을 선고받은 LG화학 간부 A씨는 에코시안의 사업영역과 정확히 일치하는 부서에서 근무한 터라 그 의혹이 강해질 수밖에 없다. 

최근 김영란법 시행으로 모든 업계가 긴장의 끈을 바짝 조이는 가운데 LG화학 간부들의 리베이트가 향후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