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더불어민주당(완주진안무주장수) 의원은 11일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서울시도 지진발생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경주 강진을 교훈삼아 지진방재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9월12일 경주에서 진도 5.8의 강진이 발생해 수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이후에도 현재까지 수백회에 이르는 여진이 계속 발생하며, 경주 강진 외에도 최근 국내외에서 지진이 잦아져 서울에서의 지질발생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서울시 소재 시설물의 낮은 내진율을 보면, 경주 강진과 같은 지진발생 시 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학교시설물과 민간건축물은 내진율이 26%대에 불과해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안 의원이 공개한 서울시 시설물 내진율 현황에 따르면 공공건축물은 47.8%, 도시철도 74.8%, 도로시설물은 82%의 내진율을 보였고, 학교시설물과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각각 26.6%, 26.8%로 조사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6월 공공시설물의 연차별 내진보강 및 민간건축물의 보강유도, 체계적인 대응체계 마련 등을 토대로 하는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올해부터 오는 2020년까지 5년간 약 5480억원 투입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해 안 의원은 "경주에서 발생한 진도 5.8의 강진으로 인한 피해를 보면, 서울시가 마련한 계획으로 대규모 지진발생시 적절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명확해진 만큼 정부와 서울시 등 지자체는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평소부터 지진방재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좁은 면적에 1000만명의 인구가 밀집한 서울은 대규모 지진발생 시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만반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안호영 의원은 "이를 위해 서울시는 건축물 내진보강을 위한 예산확보, 지진업부 담당자의 전문교육 강화, 재난정보 및 행동요령 전달시스템 개선 등을 위해 중앙정부와도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