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철도노조에 이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10일 0시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물류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처럼 화물연대가 파업에 나선 것은 정부가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에서 화물차 수급조절제를 폐지한 데 반발해서다.
특히 화물연대는 수급조절제가 폐지되면 화물차 총량이 늘어나는 만큼 공급과잉이 돼 운임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화물연대는 화물차 차주의 차량을 운송사업자 명의로 귀속하는 '지입제' 폐지도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화물연대 파업으로 수출·입 화물을 수송하는 컨테이너 운송이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총 2만1757대의 컨테이너 운송차량 중 32.2%에 해당하는 7000대가 화물연대 소속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비조합원이 운송거부 등 파업에 동참하면 컨테이너 수송 대란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대처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