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금융노조가 9·23 총파업 이후 오는 11월 2차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금융당국이 성과연봉제 강행 의지를 재차 밝히면서 금융권 노사 간 2차 대립이 예상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제7차 금융개혁 추진위원회에서 또다시 성과연봉제 강행 의지를 밝혔다.
이날 임 위원장은 "성과중심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은 금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양보할 수 없는 금융개혁 과제"라고 강조했다.
핀테크 산업 성장에 따른 금융시장의 경쟁격화 등으로 은행산업이 전례 없는 위기인 상황에 놓여있음에도 국내 금융산업은 '보신주의' '무사안일'한 문화로 발전이 지체되면서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엄정하게 구현한 성과연봉제를 통한 업무 동기 부여와 효율적 조직운영으로 조직의 생산성과 전문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는 게 사측과 당국의 방침이다.
임 위원장은 2차 총파업에 대해서는 "최근 구조조정, 청년실업 등으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파업은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며 "지금이라도 경영진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성과연봉제 도입을 고민하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금융노조는 대화와 교섭을 요구했지만 거부한 것은 오히려 사측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총파업 이후 지난달 29일 금융산별 노사 대표가 만난 자리에서 노사 간 신속한 대화와 교섭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일주일이 다 돼가도록 사측에서는 아무 연락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현재 사측이 노조와 대화하지 않는 이유가 정부 차원의 압박이 있었다는 게 금융노조의 판단이다.
금융노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공기업 사측 대표들은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의 지시로 사용자단체를 탈퇴하고 불법적인 이사회 의결을 강행했다. 또한 하반기 시중은행을 비롯한 민간 금융기관 사측도 그 전철을 밟아 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고 노조의 대화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대화와 교섭을 통한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해온 것은 정부도 사측도 아닌 금융노조"라며 "사측은 사용자협의회 복귀를 통해 산별중앙교섭을 복원하고 노사 간의 자율적인 대화와 교섭에 나서길 바란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