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LPG 차량구매 제한 규제 우리나라만…규제 풀어야"

균형 있는 에너지 산업발전 대안 'LPG 자동차 보급'

노병우 기자 기자  2016.09.27 11:38:3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친환경 차량으로 꼽히는 LPG 차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이찬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수원 장안)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LPG 차량(액화석유가스)은 지난 7월 말 기준 223만대로 5년 전보다 23만대 감소했다. 같은 기간 경유 차량이 230만대 넘게 급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국산차 133종의 배출가스 등급을 산정한 결과를 보면 LPG 차량의 평균 등급은 1.86, 휘발유 차량은 2.51, 경유 차량은 2.77으로 나타났다. 

배출가스 등급은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CO₂) 배출량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하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오염물질의 양이 적다. LPG 차량은 특히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경유차의 30분의 1에 불과하며,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 배출량도 휘발유와 경유차보다 상당폭 낮은 수준이다. 

친환경적인 LPG 차량이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사용자 규제로 수요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라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현재 LPG 차량 가운데 하이브리드차와 경차를 제외한 승용차는 일반인의 구매가 금지돼 있으며, 일반인이 아무런 제한 없이 LPG차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승용차 중 경차와 7인승 이상 차량뿐이다.

이 의원은 "LPG 차량 사용제한을 하는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며 "휘발유·경유차에서 전기차·수소차로 넘어가는 과도기 상황에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LPG 차량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료가격이 저렴하고 셰일가스 개발 등으로 향후 가스가격 안정이 전망되므로 서민층에게도 도움이 되고, 자동차업계도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인만큼 규제를 풀어 보급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LPG 차량구매를 제한하는 규제는 우리나라에만 존재한다. 선진국들은 대기오염 문제를 풀기 위해 경유차를 강력히 규제하고 있으며, LPG를 대체 청정연료로 지정해 여러 지원책을 통해 LPG 차량 보급을 확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