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정부 직전인 2011년과 2014년 배당소득 100분위 자료를 비교한 결과 배당소득의 상위 집중도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공개한 국세청의 '2011, 2014년 배당소득 100분위 자료'에 따르면 전체 상위 10%의 총 배당소득 대비 점유율은 92.9%에서 94.2%로 배당소득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평균 금액 또한 2011년, 1172만2000원에서 234만8000원 늘어난 1407만원으로 20% 가량 증가했다.
상위 1%의 총 배당소득 대비 점유율은 72.4%에서 71.7%로 다소 완화됐지만 1인 평균금액은 2011년 9137만9000원에서 157만4000원 늘어난 1억712만2000원이었다. 이는 17.2% 늘어난 수치다.
반면 배당소득 1만원 이하의 소액 배당소득자 점유율은 2011년 하위 42%에서 2014년 하위 46%로 4%가량 늘어났다.
김종민 의원은 "배당소득은 상위 1%가 전체 배당소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1인 평균금액이 1억원700만원 이르는 대표적인 불로소득"이라며 "불로소득이 상위 1%에 집중되는 것은 분배의 정의에 맞지 않으며, 중·서민층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