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단독] "S펜도 회수하라" 갤노트7 교환 와중에 이런 일도…

교환 개시 전 KT·LG유플러스에 지침…'부득이한 경우 제외' 단서 붙여

임재덕·황이화 기자 기자  2016.09.23 15:19:1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갤럭시노트7 교환과 관련해 3만3000원짜리 알짜 구성품 'S펜'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삼성전자가 "S펜을 포함한 구성품 없이 본체만 반납하면 신제품 풀박스를 제공하겠다"는 기본 방침과 달리 이동통신사에 "가급적 S펜까지 다 받으라"는 사전 지침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이에 삼성전자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하고 나서면서 제조사와 이통사 간 진실공방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몇몇 유통점에서 S펜을 포함한 구성품 전체 또는 일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중고판매를 노린 꼼수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특히 S펜은 개별 구매 가격만 3만3000원에 달하는 데다 중고 수요가 많은 '알짜 구성품'이어서 교환 전 S펜 반납 여부를 묻는 질문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이번 논란에서 주목할 점은 삼성전자가 과감한 리콜 결정 이후 알짜 구성품에 집착하는 듯한 모양새를 보였다는 것이다. 물론 기업이 부가가치가 큰 재화를 미련 없이 포기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통 큰 결단'이라는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간접적으로 영세 유통점에 대한 소비자 불신을 자극한 것은 브랜드 신뢰회복이라는 대명제와 어울리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삼성전자의 S펜 회수 요구와 관련해 KT와 LG유플러스 측은 해당 지침이 있었다고 밝혔다.

KT 관계자는 "삼성에서 충전기나 박스는 없어도 되지만 분실 등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S펜을 다 회수해달라는 방침을 사무처에 전달한 것으로 안다"며 "우리가 교환 과정에서 S펜 유무를 따지기 곤란하지만 삼성 방침이라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 측 역시 "방침이 내려온 것은 사실"이라며 "되도록 S펜과 부속품을 받는 게 좋다고 해 교환 시 요청하되 없으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통업계 1위 SK텔레콤의 반응은 달랐다. SK텔레콤 관계자는 "S펜 회수와 관련한 추가 지침은 없었다"며 "본체만 있다면 파손된 경우도 교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일선 판매점에 가이드라인이 모두 전달되도록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9일 이후 갤럭시노트7 교환 과정에서 일선 매장과 소비자 간 혼선과 불신이 크게 번지고 있다. 구성품 반납 여부를 비롯해 물량 확보 문제와 일부 사은품 미지급 등 소비자 불만이 가중되는 상황이 연이어 벌어진 것.

그중에서도 최근 온라인 중고마켓에 본체를 뺀 갤럭시노트7 박스세트가 매물로 등장하면서 유통점의 횡령 논란까지 불거졌다. 그럼에도 이통사 측은 "제조사에서 관리할 문제"라며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교환업무로 영업에 지장을 받은 유통점의 처지를 감안해 불법을 용인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극히 일부 사례로 본사 권고는 할 수 있지만 판매점마다 강력하게 규제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며 "매장에서 구성품을 횡령한다면 삼성전자가 관리할 일"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