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저소득층 가구의 가계대출 잔액이 증가하면서 가계부채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전국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5924 증가한 16조6920억원을 기록했다.
월간 증가액이 6월보다 2.5배 수준으로 확대됐는데, 이는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래 사상 최대치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올해 1~7월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2조9984억원으로 증가율이 21.9%였다.
이는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전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율 8.5%를 뛰어넘는 수치다.
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 가계대출 잔액을 보면 서울은 10조3235억원으로 전체 61.8%를 차지한 것. 올해 전체 지역 증가액 중 서울지역 비중은 74.4%나 됐다.
문제는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저축은행에서 대출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실제 한은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 평균 대출금리는 연 11.20%로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보다 약 4배 높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보다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을 볼 수 있다"며 "또 올해 은행권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대출 수요가 2금융권에 이동한 풍선효과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추후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