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3일(현지시각)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해 "국가 공인 동물원을 만들어준 것"이라고 비판한 데 창조경제혁신센터 협의회(회장 김선일, 이하 혁신센터 협의회)는 5일 성명서를 내고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했다.
안 전 대표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가전전시회(IFA) 2016'에서 "전국에 (혁신센터) 17개를 두고 대기업 하나씩 독점권한을 줬다"며 "국가 공인 동물원을 만들어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대기업에 혁신센터 독점권한이 간 현재 상황을 비판한 것으로 중소기업에 독점계약을 요구해 '동물원 우리에 동물을 가둬버리는'식의 대기업 관행을 따르고 있다는 것.
그는 "처음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만든다고 할 때 제안한 게 권역별로 만들라고 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수도권 이렇게 만들고 3∼4개 대기업이 공동관리를 하면 자연스럽게 거기서 창업하는 기업들은 최소한 3∼4개의 대기업에 무리하지 않고 납품할 수 있는 길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의 발언에 혁신센터 협의회는 "오늘도 꿈과 미래를 위해 밤낮으로 뛰고 있는 청년 벤처기업인이 동물원의 동물이냐"고 반문했다.
특히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대기업에 하나씩 독점권한을 준 '국가 공인 동물원'이라고 폄훼하고 비판했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전국 17개 시도에서 ‘창업을 위해, 혁신을 위해, 미래를 위해’ 모든 힘을 쏟는 1199개 창업기업을 모독한 것"이라며 "과연 젊은 벤처기업인, 스타트업 기업인들이 주는 먹이만 받아먹는 동물원의 동물이라고 생각하는 지 안철수 의원에게 묻고 싶다"고 언급했다.
특히 안 전 대표가 "대기업에 하나씩 독점 권한을 주었다"고 지적한 데 대해 "전담기업이 하나씩 지역을 책임지고 맡아서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체계를 만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여기 더해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이 서로 협력해 빠르게 성장하고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찾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만든 것으로 사실과 다르다"고 입장을 전했다.
끝으로 "이제 막 뿌리내린 창조경제의 꽃을 피우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만들어가는 것이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라며 안 전 의원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