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새누리당과 정부는 6일 국회에서 당정협의회를 열어 한진해운발 물류사태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당정은 한진해운에게 장기저리자금 1000억원을 지급할 것을 검토했다.
김광림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의 말을 빌리면 이날 당정협의회 직후 진행한 원내대책회의 중 한진해운에 자산가치가 있는 담보 등을 한진그룹이나 조양호 회장 등 대주주 차원에서 제공할 경우 즉각 정부가 나서 장기저리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촉구했다.
아울러 당정은 한진해운 사태해결을 위해 △한진해운 피해지역 고용위기지역 지정 검토 △각국에 한진해운 선박 압류금지명령 요청 △해상 대기 중인 한지해운 선박에 식수·음식 마련 등의 다른 대책도 논의했다.
한편, 5일 오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부터 야기된 전세계적 물류대란에 대해 "원칙적으로 한진그룹이 사회적 책임을 갖고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화물을 운송할 책임은 당연히 한진해운에 있고 여전히 한진해운은 한진그룹의 계열사"라고 말했다.
또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한진해운의 우량 자산을 담보로 하는 것 등 대주주와 회사가 책임진다는 원칙하에서 (정부가)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협의하고 있다"고 제언했다.
이런 정부의 질책에 그동안 무대응으로 일관하던 한진그룹이 5일 KDB산업은행을 찾아 채권단과 협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채권단 측은 "한진 측에서 접촉한 것은 맞지만 새로운 안건은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6일 한진그룹과 채권단이 다시 만날 것이 예고된 가운데 한진 측의 대응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