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의원은 "2011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대우조선해양에서 퇴직한 퇴사자의 수는 총 3555명이었고 그중 기술본부 인력은 628명이었다"며 "부실이 드러난 2015년 이후 퇴사한 기술본부 인력은 328명으로 전체 기술본부 퇴사자 중 52%가 1년 반 사이에 퇴직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15년에는 근속년수가 긴 기술본부 인력의 퇴사자가 늘었는데 이들의 평균 근속년수는 14.4년이었고, 2011년 퇴사자의 평균 근속년수는 6.1년, 2012년 9.2년, 2013년 8.1년, 2014년 7.4년이었다"며 "부실이 가중되면서 숙련된 기술인력 퇴사가 늘어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기 더해 "생산본부 인력 역시 퇴사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전체 3555명(2011~2016년) 중 1399명(39%)로 퇴사인력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 퇴직자의 근속연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1년 평균 17.4년, 2012년 23.7년, 2013년 13.9년, 2014년 17.8년인데 비해 2015년에는 25.6년, 2016년 24.3년으로 퇴사자의 숙련도가 높았다"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우수한 기술인력이 해외로 유출되고 우리나라 중공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구조조정 과정에서 희생될 노동자들에 대한 재취업 지원 및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