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호텔롯데가 오는 29일로 예정됐던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연기하면서 '신영자 리스크'를 어떻게 수습할지 향배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번 문제는 면세점이 호텔의 발목을 잡은 것이기도 하며, 이른바 오너 일가 쇄신 문제와도 맞닿았다. 검찰은 지난 2일 롯데호텔 면세사업부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로비 의혹의 사실 여부가 확실히 판가름나기도 전에 파장이 호텔 상장 문제로 번진 이유는 당국에서 롯데면세점 압수수색에 대한 관련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상장 절차에 제동을 걸 명분이 생긴 것 때문만은 아니다.
롯데그룹은 심리적 부담을 크게 안을 수밖에 없다. 호텔롯데에서 면세점은 전체 매출의 80%를 넘게 차지하는 중요 요소다. 아울러 호텔롯데 공모자금을 면세점 사업 확장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예측된 상황에서 사태를 관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롯데가 이번 악재로 공격적인 면세점 사업 확장 기조를 바로 접게 될 것이라는 단정을 내리기는 힘들다. 우선 악재를 반영해 공모가를 하향조정한다 해도 상당한 실탄이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공모 예정금액 범위가 최대 5조7000억원선에서 5조2000원으로 줄겠지만, 상당한 규모의 자금인 것만은 여전하다는 것.
롯데그룹은 지난해 신동빈 회장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의 경영권 분쟁 여파로 월드타워점 특허 재승인에 실패한 전력이 있다.
이런 와중에 관세청이 이번에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신청 공고를 하면서 권토중래를 꾀할 무대가 펼쳐졌다. 로비 의혹이라는 또 다른 암초를 만나기는 했지만 면세 영토 확장을 위해서는 포기하기 어려운 싸움이다.
더욱이 자금줄 확보라는 의미 외에도 호텔롯데의 상장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난해 8월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그룹 개혁의 핵심 과제로 약속한 사항이 바로 호텔롯데 상장 문제다.
호텔롯데는 일본의 롯데홀딩스, L제4투자회사 등이 99% 지분을 가져 일본계 기업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같은 일본계 지분율을 65%까지 낮추는 카드를 꺼내 상장에 활용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면세점 경쟁력 확보 못지 않게 이쪽도 시급히 처리해야 할 현안인 셈.
이렇게 호텔롯데 공모를 통해 그룹의 핵심부문인 호텔과 면세업, 테마파크 등에 투자하고 이미지 쇄신 등 개혁을 도모해야 하는 만큼, 다음 달 상장 재추진은 소나기를 피하기 위한 방편의 성격이 크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