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신세계백화점이 빅데이터로 고객의 마음을 읽는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달부터 분더샵 청담점에서 발렛 주차서비스를 받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고객응대시스템'을 업계 최초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예컨대 고객이 차량을 타고 도착 후 발렛 주차서비스를 받으면 차량번호로 고객을 확인, 이를 매장 판매사원의 태블릿 PC에 전송해 고객의 구매 패턴을 미리 알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매장 판매사원의 태블릿 PC에는 고객이 매장에 도착함과 동시에 알림이 온다. 해당 구매고객의 선호 브랜드와 구매 이력은 물론 브랜드별 실시간 재고 조회까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홍정표 신세계백화점 영업전략담당 상무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스마트 고객응대시스템은 백화점 오프라인 쇼핑의 즐거움을 배가할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 고객응대시스템에 이어 올 연말까지 신세계앱의 대대적인 개편으로 모바일을 통해 더욱 다양한 개인별 맞춤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고객관리시스템(CRM)의 대대적인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인 신세계는 그 첫 번째 결과물로 이번 차별화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
특히 이번 서비스를 먼저 도입한 명품 편집매장 분더샵의 경우 수백개 명품 브랜드를 다루는 편집매장으로 고객 개인별 선호도 파악이 절대적이라는 설명이다.
그간 숍매니저를 비롯한 판매사원들은 고객들의 얼굴, 이름, 선호브랜드에 대한 고객데이터를 기억에 의존하거나 간단한 메모형태로 관리해왔다. 이제 디지털화로 언제, 어떤 고객이 오더라도 모든 판매 사원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
또 판매사원들이 사용하는 태블릿 PC는 카메라를 이용해 바코드를 인식, 전국 분더샵 전점 재고 확인이 가능하고 매출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도 즉시 조회할 수 있게 되는 등 스마트한 모바일 영업환경도 구축했다.
이번 스마트 고객응대시스템은 분더샵 청담점의 운영을 시작으로 본점, 강남점, 센텀시티점 내 분더샵 전점에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신세계는 본점과 경기점에서 상품 구매와 동시에 주차비가 정산되는 '자동 주차정산시스템'을 운영해 1대당 평균 출차 시간이 22분에서 10분 이내로 감소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