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부산경찰청, 조직·생활주변 폭력배 특별단속 실시

100일간 조폭 128명 · 동네조폭 1028명 검거…조폭 37.6% · 동네조폭 153.8% 증가

윤요섭 기자 기자  2016.06.06 23:58:2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부산지방경찰청은 지난 2월15일부터 5월24일까지 100일간 '비정상의 정상화'의 일환으로, 치안불안을 초래하고 각종 불법행위를 일삼는 '조직폭력배 등 생활주변 폭력배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했다.

경찰은 '생활주변 폭력배'의 개념을 국민 시각으로 넓게 바라보고 주민생활 주변에서 실질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불법 용역폭력·불량배까지 폭넓은 단속을 전개했다.

단속 결과, 조직폭력배는 총 128명을 검거해 22명을 구속, 동네조폭은 총 1028명을 검거해 28명을 구속, 지난해 상반기 특별단속 대비 검거인원이 대폭 증가했다.

경찰은 초기부터 단속의지를 결집해 피해자의 신고를 유도해 영세업소를 상대로 상습적으로 무전취식을 일삼는 불량배 등 단속대상을 확대한 결과, 검거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폭력배 단속 결과 최근 폭력조직은 30대 이하 젊은 조직원들의 활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 계파구분 없이 소규모로 단기간에 이합집산하는 경향을 보여 불법행위 첩보수집 및 단속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폭력·갈취 등 전형적인 범죄유형이 전체 검거인원에서 58.6%(75명)를 차지하고 있다. 성매매업소 운영 8.6%(11명), 마약류 7.0%(9명) 등 소규모·지능화 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조폭의 국회의원 선거 개입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첩보수집기간을 지난 1월11일부터 2월10일까지 운영해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 조폭의 선거개입은 사전 차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동네조폭 단속 결과 동네조폭의 활동유형은 영세식당 등을 상대로 업무방해·폭력·갈취 등 전형적인 범죄유형이 92.0%(1,651건)를 차지했다.

또한, 전과 21범 이상이 51.5%(529명)를 차지하는 등 대부분 다수 전력자들로 재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검거 이후에도 보복 등 재범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해 경찰은 검거한 동네조폭 전원(636명)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해 재범자 68명을 검거, 조직폭력배 은닉자금 환수 등 단속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폭력조직의 자금원천이 되고 있는 도박개장·인터넷 도박 등 불법사행성 영업을 적극 단속해 사행산업 감독기관과 협업을 강화해 조직의 활동기반이 되는 은닉자금을 '기소전 몰수보전제도' 등을 통해 환수해 폭력조직 해체까지 강력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경찰은 지난해 검거한 동네조폭 636명 전원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해 처벌 후 사회복귀현황 및 피해자보복 등 재범여부를 파악하는 피해자 보호활동을 전개한 결과 피해자보복, 재범 등 총 68명을 검거했다.

또한, 생활주변 폭력배 근절을 위해서는 피해자의 적극적인 피해신고와 진술이 절실함에도 상당수의 피해자들이 자신의 범법행위가 '약점'이 되어 신고를 기피하는데 착안해 '생활주변 폭력배 특별단속'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대검찰청, 행정자치부 등 관계기관과 협업해 '피해자 경미 불법행위 면책'을 추진했다.

부산지방경찰청 폭력계는 "5월30일부터 8월31일까지 3개월간 여성안전 특별치안대책의 일환으로 여성을 상대로 한 강도·강간·강제추행·바바리맨·몰카 등 성범죄, 갈취·업무방해를 일삼는 조폭·동네조폭 등 생활주변 폭력배, 데이트폭력 사범을 집중단속 할 방침이다"며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