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올해 사물인터넷(IoT)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K-ICT 전략의 하나로 진행된다.
K-ICT 전략은 정보통신기술(ICT)이 선도하는 창조한국 실현을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5년간 총 9조원을 투입해 ICT 산업 성장률 8%, 2020년 ICT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올해 IoT 지원사업은 IoT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는 '중소기업 지원사업'과 IoT로 도시 현안을 해결하는 'IoT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사업'으로 나눠 진행된다. 사업에는 각각 56억3000만원, 2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대상 공모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영역을 특정하지 않는 자유공모로 3월25일부터 4월27일까지 진행됐다. 미래부는 이를 토대로 서비스 검증·확산 및 융합제품 상용화 부문 총 28개 과제를 선정했다.
IoT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 사업은 지난 4월11일부터 지난달 11일까지 지자체·기업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다. 그 결과 경기도 고양시·엘지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돼 향후 2년간 IoT로 고양시의 도시문제를 해결한다.
고양시는 시민·관계 기관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안전·환경·에너지 등 3개 현안 분야 및 서비스를 선정했다. 이는 2년간 서비스 실증을 거쳐 확산할 계획이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민·관 협력 IoT 지원 사업으로 역량있는 IoT 전문 기업을 육성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 IoT 시대를 앞당기려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