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정불량식품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골칫거리. 이와 관련해 경기도가 도 전역을 부정불량식품 제로지역으로 선포하고 식품범죄 소탕작전에 돌입했다.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수원지방검찰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 한국외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는 긴밀한 상호공조 및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경기도 식품안전을 실현하고자 1일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에서는 △경기도가 전국 제일의 식품 안전지역이 될 수 있도록 상호 소통과 공동 협력 강화 △안전한 식품환경 조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 공유 △도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식품안전 교육 및 홍보활동 확대 △식품안전 관련 공동 관심사항의 지속 발굴과 협력 등에 합의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협약에 참여한 기관 모두 각 기관별로 식품안전을 위한 활동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부정불량식품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관계기관 간의 파트너십 구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협약을 맺게 됐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인사말을 통해 "도민의 식탁과 아이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고질적이고 상습적인 불량식품을 뿌리 뽑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추적하겠다"고 제언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달 도 전역을 '부정불량식품 ZERO 지역'으로 선포하고 대규모 단속, 위반자에 대한 무관용 원칙 적용 등이 주요내용인 식품범죄 소탕작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는 1일부터 본격적인 식품범죄 소탕작전 첫 번째로 46개 합동단속반을 투입, 도내 배달전문음식업소 2000개소에 대한 집중 단속에 들어갔다.